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56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08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221
    read more
  4.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6
    Read More
  5.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15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21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44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301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310
    Read More
  10.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356
    Read More
  11.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411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583
    Read More
  13.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611
    Read More
  14.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622
    Read More
  15.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643
    Read More
  16.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660
    Read More
  17.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664
    Read More
  18.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666
    Read More
  19.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667
    Read More
  20.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679
    Read More
  21.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688
    Read More
  22.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731
    Read More
  23.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732
    Read More
  24.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734
    Read More
  25.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76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