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20

호태왕비

조회 수 862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호태왕비

광개토대왕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영토를 확장한 임금으로 알려져 있다. <삼국사기>에는 광개토왕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 ‘대왕’이라는 기록은 없다. 그렇지만 길림성 압록강가 집안에서 광개토대왕비가 발굴됨으로써 사기의 기록을 완전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이 비문의 제1면 상단에는 ‘영락태왕’이라는 기록이 나오며, 제4면 하단에는 ‘국강상광개토경 호태왕’이라는 기록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 비문을 일반적으로 ‘호태왕비’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비문은, 제1면의 ‘왜이 신묘년 래도해파 백잔□□신라’(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斤羅?)라는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를 두고 일본 학자와 한국 학자들 사이의 논쟁이 격화되면서 더욱 널리 알려졌다.

그런데 많은 이들은 이 비문에 고구려의 간략한 역사가 기록돼 있고, 또 고구려계 땅이름이 상당수 기록되어 있다는 사실은 주목하지 않는 듯하다. 이 비문의 내용은 고구려 시조인 추모왕에 대한 기록으로부터 영락태왕의 연도별 행적, 그리고 무덤을 만들고 지키는 원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눈여겨볼 만한 것은 비문 속에 나타나는 영락 6년에 광개토왕이 공략한 땅이름과 묘지기들을 배정하면서 거론한 땅이름이다. 그 가운데는 ‘모로’, ‘모루’, ‘구루’가 붙은 땅이름이 상당수 발견된다. 또한 압록강으로 추정되는 ‘압로’도 다섯 곳이나 발견된다. 이들은 마을을 뜻하는 우리말 어휘다. 160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음에도 호태왕이 밟고 간 땅이름은 우리말 속에 녹아들어 있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7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5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315
220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134
219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592
218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6914
217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148
216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028
215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584
214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273
213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6923
212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078
211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424
210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5851
20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360
208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0838
207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723
206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005
205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5955
204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6923
203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429
202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290
»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627
200 굿 바람의종 2008.02.17 7730
199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