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5 00:50

구미와 곶

조회 수 698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미와 곶

<표준국어대사전>에, ‘곶’은 ‘바다로 뻗어나온 모양을 한 곳’이라고 풀이돼 있다. 그렇다면 ‘곶’은 해안에만 있는 땅이름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갈곶·갈고지·돌곶·돌고지’ 등은 바닷가가 아닌 곳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두루 ‘곶’이 들어 있다.

우리말에서 ‘곶’은 ‘구무[굼]’와 마찬가지로 ‘움푹 파인 곳’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이는 바닷가뿐만 아니라 내륙에서 움푹 파여 배를 대기 편한 곳에 ‘곶’을 붙인 데서도 알 수 있다. ‘곶’은 ‘고시’(古尸), ‘고자’(古自), ‘고차’(古次), ‘홀차’(忽次) 등으로 쓰였다. 백제 때 전남 장성군은 ‘고시리’(古尸伊)였으며, 신라 때 경남 고성군은 ‘고자미동국’(古資彌東國), 경기 안산은 ‘고사야홀차’(古斯也忽次)였다. ‘홀차’가 ‘구’(口)로 바뀌기도 하는데, ‘고사야홀차’는 ‘장항구’(獐項口)로, ‘요은홀차’(要隱忽次)는 ‘양구’(楊口)로 바뀌었다.

‘곶’은 다른 꼴로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와 ‘구지’는 ‘곶’에 ‘이’가 붙어 된 말이며, 첫소리를 된소리로 내면 ‘꾸지’가 된다. 여수 지역의 ‘송고지·숫구지·일중구지·문꾸지’ 등은 ‘곶’의 이형태가 붙은 땅이름이다. 여기선 ‘곶’ 대신 ‘구미’가 붙은 곳도 제법 발견된다. ‘망구미·온구미’의 ‘구미’도 ‘곶’의 이형태들이다. <난중일기>에 보이는 ‘군영구미·이진구미’ 등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굽다’의 이름꼴인 ‘구비’가 ‘구지’에 이어져 생긴 꼴이다. 이 또한 ‘곶’이 ‘구무’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5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4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141
28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015
285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056
284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7949
283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8876
282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5919
281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345
280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517
279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107
278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5960
277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707
276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774
275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6887
274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726
273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6814
272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15
271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054
270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501
269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769
268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660
267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484
266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176
26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6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