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185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7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59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333
3168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612
»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185
3166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493
3165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660
3164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6774
3163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504
3162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058
3161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15
3160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6814
3159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731
3158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6894
3157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6777
3156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711
3155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5972
3154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107
3153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525
3152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345
3151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5928
3150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8887
3149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7952
3148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066
3147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0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