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19

흘리대·흘리덕이

조회 수 8956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흘리대·흘리덕이

사람이름

예종 1년(1469년), 장사치 이길생이 왜인 ‘시난이라’를 꾀어 은 마흔 냥을 금 여덟 냥 닷 돈과 바꾸기로 계약하고 금을 받아온 뒤 은 열여덟 냥과 인삼 쉰 근만 주었다. 이에 형조에서는 이길생의 목을 치고 살림살이는 관아의 것으로 하며, 주인인 소금장이 流里大(유리대)의 살림과 이길생의 명주 400필을 거두어 왜인 시난이라한테 줄 것을 임금께 아뢰었다.

이두 책을 보면 流伊(유이)는 ‘흘리/흘니’, 流音(유음)은 ‘흘님/흘림’으로 읽는다. ‘흐르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流里 또한 ‘흘리’이므로 流里大(유리대)는 ‘흘리대’가 된다. 비슷한 이름의 밑말 流衣(유의)가 쓰였다. 문종실록에 流衣德(유의덕), 성종실록에 流衣萬(유의만)이라는 사람이 나온다. 良衣와 良里가 ‘A리’를 적었듯이 流衣는 ‘흘의/흘레’ 아닌 ‘흘리’를 적었던 것 같다. 위 두 사람은 ‘흘리덕이·흘리만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흐리금’도 있는데 ‘흘리’와 비슷한 ‘흐리’라는 밑말도 있었음을 에워 보여준다.

옛문서를 살피면 꾼 돈 따위를 여러 번 나눠 갚을 때 ‘흘리’(流伊) 낸다 했으며 요즘에도 흘림흘림 낸다는 말이 남아있다. 흘림/흘님은 초고(草稿)라는 뜻도 있다. ‘자하 흘님’은 한 해 동안 쓸 쌀·베·돈 따위의 예산안(장부)을 가리킨다. 이두에서 上(위 상)은 ‘자’로 읽었다. 外上(외상)은 ‘외자’라 하였으며 上下(상하)는 ‘자하’로 읽고 준다는 뜻이었다. 조선 때 글말은 한자 뜻만으로는 가늠키조차 어렵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01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9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709
3432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4873
3431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3430
3430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534
342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824
3428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262
3427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0675
3426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612
3425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165
3424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5621
3423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0750
»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8956
3421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016
3420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5707
3419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305
3418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4715
3417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060
3416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480
3415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2955
3414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644
3413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417
3412 휘거 風文 2014.12.05 24467
3411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27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