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55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8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66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472
3212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6861
3211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316
3210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189
3209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268
3208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309
3207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146
320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128
3205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9878
3204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034
3203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150
3202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155
3201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386
3200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8925
3199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452
3198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760
3197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6911
3196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8792
3195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393
»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553
3193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8858
3192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8664
3191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5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