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17 08:01

천재일우(千載一遇)

조회 수 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재일우(千載一遇)
   -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 《出典》'文選' 袁宏 三國名臣序贊


동진(東晉)의 학자로서 동양 태수(東陽太守)를 역임한 원굉(袁宏)은 여러 문집에 시문(詩文) 300여 편을 남겼는데, 특히 유명한 것은《文選》에 수록된 '三國名臣序贊'이다. 이것은《三國志》에 실려 있는 건국 명신 20명에 대한 행장기(行狀記)인데, 그 중 위(魏)나라의 순문약(荀文若)을 찬양한 글에서 원굉은 이렇게 쓰고 있다.        

            대저 백락(伯樂)을 만나지 못하면, 곧 천년에 한 천리마도 없다.
            夫未遇伯樂 則千載無一驥.        

말[馬]에 대하여 안목이 높은 말[馬]의 명인 백락을 만나지 못한다면, 천년이 지나도 한 마리의 천리마도 발견할 수 없다는 것은, 어진 신하가 명군(名君)을 만나는 것이 어렵다는 것과 통한다.        

대저 만 년의 한 번 기회는 이 세상의 통하는 길이며 천 년에 한 번 좋은 기회를 만나는 것은 현인(賢人)과 지혜 있는 사람의 아름다운 만남이다. 이와같은 기회를 누구나 기뻐하지 않고는 못 견디니, 기회를 잃으면 누구나 어찌 능히 개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夫萬歲一期 有生之通塗 千載一遇 賢智之嘉會 遇之不能無欣 喪之何能無慨.        

       【동의어】천재일시(千載一時), 천재일회(千載一會), 천세일시(千歲一時)
       【유사어】맹귀부(우)목(盲龜浮(遇)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3 호연지기(浩然之氣) 風文 2022.09.02 71
392 형설지공(螢雪之功) 風文 2022.09.01 58
391 한우충동(汗牛充棟) 風文 2022.08.30 61
390 한단지보(邯鄲之步) 風文 2022.08.29 46
389 한단지몽(邯鄲之夢) 風文 2022.08.28 58
388 풍성학려(風聲鶴唳) 風文 2022.08.27 70
387 표사유피(豹死留皮) 風文 2022.08.23 69
386 파죽지세(破竹之勢) 風文 2022.08.22 108
385 토사구팽(兎死狗烹) 風文 2022.08.21 65
384 태산북두(泰山北斗) 風文 2022.08.20 68
383 촌철살인(寸鐵殺人) 風文 2022.08.19 40
382 청운지지(靑雲之志) 風文 2022.08.18 59
» 천재일우(千載一遇) 風文 2022.08.17 91
380 천의무봉(天衣無縫) 風文 2022.08.16 47
379 지록위마(指鹿爲馬) 風文 2022.08.15 62
378 죽마고우(竹馬故友) 風文 2022.08.14 84
377 절차탁마(切磋琢磨) 風文 2022.08.13 49
376 전전반측(輾轉反側) 風文 2022.08.12 61
375 전전긍긍(戰戰兢兢) 風文 2022.08.07 66
374 자포자기(自暴自棄) 風文 2022.08.06 73
373 일이관지(一以貫之) 風文 2022.08.05 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