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file
조회 수 12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물은 모두 시계를 갖고 있다


    제6장 생물 시계의 다양한 주기

    대자연의 사계 - 식물

  최근 들어서는 비닐 하우스가 농업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 우리는 언제든지 상점에 가서, 철이 지났거나 아직 제철 되지 않은 꽃과 야채, 과일이 지천으로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값이 조금 비싸기는 하지만 겨울에도 딸기와 토마토를 먹을 수 있고, 꽃병에 장미꽃을 한아름 꽂아 놓을 수도 있다.  사람들에게 제철이 아닌 농작물을 키울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부분의 사람은 비닐 하우스에서 온도를 조절하면서 농사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물론 비닐 하우스를 이용해서 온도를 조절할 수 없다면 제철이 아닌 농작물을 키울 수 없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제철이 아닌 농작물을 먹고 볼 수 있는 이유에는 비닐 하우스의 이용 말고도 중요한 요소가 한 가지 더 있다. 그것은 바로 인공적인 조명을 농업에 이용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여러분도 비닐 하우스에 검은 천 같은 것을 씌워 놓았거나 전구를 밝혀 놓은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검은 천은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고 전구는 인공적으로 햇빛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제부터 인공적인 조명을 주는 것이 어째서 제철이 아닌 농작물을 키울 때 중요한 요소가 되는가를 알아보기로 하자.

  여러분은 누구라도 '봄이 오면 산에 들에 진달래 피네'로 시작되는 노래를 들어 보았을 것이다. 봄이 오면 온산을 붉게 물들이면서 진달래가 피고, 노란 개나리가 피고, 복사꽃, 살구꽃이 앞을 다투며 피어난다. 이렇게 나무에서 피는 꽃 뿐만 아니라 작은 풀들도 꽃을 피워낸다. 제비꽃, 민들레, 봄맞이꽃, 냉이꽃 등등. 여름이 가까워 오면 또 다른 꽃들이 대지를 수놓는다. 빨간 양귀비며, 아카시아, 자주빛 꽃창포, 그리고 매발톱꽃, 장미 등등. 코스모스가 가을이 온 것을 알리면 소설에도 등장하는 메밀꽃이 피고, 들국화가 산자락을 누빈다. 하지만 가을을 치장하는 꽃 중에서 가장 손꼽을 수 있는 것은 역시 국화이다. 겨울에 피는 꽃은 그리 많지 않다. 바닷가에 동백이 피는 것이 고작인 것이다. 그리고 겨울이 끝날 즈음 매화가 핀다. 산에 들에, 그리고 집의 안뜰에 피어나는 꽃만큼 우리에게 계절의 변화를 잘 가르쳐 주는 것은 없다.

  그렇다면 식물은 어떻게 계절을 알고 꽃을 피우는 것일까? 그 대답은 곤충에서처럼 역시 광주성 시계이다. 식물의 몸 속에도 광주성 시계가 들어 있어서 여러 가지 행동을 명령하는 것이다. 광주성 시계가 내리는 명령은 꽃을 피우라든지, 겨울을 나기 위해 겨울눈을 만들거나 알뿌리(구근)을 만들라는 것 등이다. 또 씨앗을 틔우라는 명령도 있다. 광주성 시계는 이렇게 무슨 일을 시작하라는 명령뿐만 아니라 어떤 일을 그만두라는 명령도 내린다. 거의 모든 생물이 매년 항상 똑같은 계절에 발생을 하며 생장하고 생식하는 등의 중요한 일을 반복한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광주성 시계의 작용 때문이다. 광주성 시계란 어떤 것일까? 시계처럼 지금이 어느 때라는 것을 알려 주는 신호일까?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면 꿀벌이나 찌르레기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 나침반의 기능을 하는 것일까? 그것도 역시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일까? 광주성 시계란 시간의 경과를 재는 시계이다. 시간의 경과를 재서 계절을 안다는 것이다.

  그러면 광주성 시계는 어떤 방법으로 시간의 경과를 알아내는 것일까? 애석하게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자들의 의견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았다. 어떤 학자는 광주성 시계가 모래 시계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고 본다. 또 다른 학자는 광주성 시계가 서커디언 시계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오랫동안 서로 다른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이 있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뷔닝이라는 과학자는 1936년에 이미 선구적인 가설을 내놓았다.

  "생물은 내적 요인에서 나오는 리듬을 갖고 있어서, 나날의 활동 리듬을 되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생물은 이 리듬을 이용해서 시간도 재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이야기하기도 했다.
  "식물은 시간의 흐름을 아는 시계 같은 것을 갖고 있어서, 그것을 이용해서 하루가 가는 것을 알고, 꽃이 피는 시간 등을 조절하고 있다."

  식물은 꽃이 피는 주기에 따라서 단일 식물과 장일 식물로 나누어진다. 단일 식물이란 하루 중 해의 길이가 어느 정도 이하로 짧아지면 꽃이 피도록 되어 있는 식물을 말한다. 따라서 단일 식물은 여름과 가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이 많다. 담배나 코스모스, 메밀, 국화, 나팔꽃 등이 단일 식물이다. 장일 식물은 단일 식물과 반대라고 생각하면 좋다. 다시 말해서 해가 길어질 때 꽃이 피는 식물인 것이다. 따라서 장일 식물에는 봄과 초여름에 꽃을 피우는 것이 많다. 무, 배추, 보리, 밀, 파, 시금치, 양배추, 붓꽃 등이 장일 식물인 것이다. 단일 식물이나 장일 식물이나 모두 제각기 갖고 있는 생물 시계를 이용해서 해의 길이를 재고 있다. 그런 방법으로 언제쯤 성장하는 시기를 마감하고 꽃을 피울 시기로 들어갈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생물 시계는 이런 방법으로 대자연의 사계를 갖가지 꽃으로 수놓는 것이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음악 좋아하는 나의 그룹 : 악단광칠(ADG7) - '임을 위한 행진곡' new 風文 2024.05.18 104
공지 음악 Gerard Joling - Spanish Heart update 風文 2024.04.20 354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13698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15917
공지 음악 Elvis Presley - Return To Sender (Remix) 風文 2023.01.01 1213
공지 동영상 지오디(GOD) - 어머님께 風文 2020.07.23 2921
1353 좋은글 나는 어떤 고양이인가 바람의종 2009.07.12 27933
1352 좋은글 닭 팔아 월사금 쥐어주고 조그맣게 돌아선 어매 바람의종 2009.07.13 25437
1351 ‘랜드마크(landmark)’는 ‘마루지’로 다듬었습니다. 바람의종 2009.07.13 44709
1350 공지영 신작 <도가니>출간기념 북콘서트, 사인회 안내 바람의종 2009.07.15 20968
1349 좋은글 역사는 객관적으로 쓰여지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9.07.15 22111
1348 꽃다지 현장 콘서트에 초대합니다 바람의종 2009.07.17 22675
1347 좋은글 현명한 사람 바람의종 2009.07.17 33141
1346 역사는 객관적으로 쓰여지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9.07.17 3372
1345 유럽중심주의 역사학은 누가 만들었나 바람의종 2009.07.17 3395
1344 좋은글 ‘핫이슈(hot issue)’는 ‘주요쟁점’으로 다듬었습니다. 바람의종 2009.07.22 23209
1343 유럽중심적 역사의 해체를 위하여 바람의종 2009.07.24 3926
1342 좋은글 우리가 강이 되자 바람의종 2009.07.24 22417
1341 <블랙 아테나>와 문화전쟁 바람의종 2009.07.25 3693
1340 빙켈만이 이룬 대전환 바람의종 2009.07.28 3736
1339 그리스문화의 이상화 바람의종 2009.07.29 3323
1338 북콘서트 - 공개방송 안내 바람의종 2009.07.30 22419
1337 좋은글 푸른 보리 밭을 떠나며 바람의종 2009.07.31 26623
1336 '자유로운 유럽 중세도시'라는 신화 바람의종 2009.08.02 4212
1335 2009년 8월 달력 모네의 "아르장퇴유의 빨간배 file 바람의종 2009.08.02 498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