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50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6517




2013년 희망의 사자성어 ‘除舊布新’
‘사리’와 ‘정황’에 합당한 변혁 필요한 해













 
 

휘호 : 近園 김양동 미술학 박사, (전)계명대 미대 학장, (현)계명대 석좌교수

 

 2013년 새해 희망을 담은 사자성어로 교수들은 ‘묵은 것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펼쳐낸다’는 뜻의 除舊布新을 선택했다.



제구포신을 희망의 사자성어로 추천한 이종묵 서울대 교수(국문학) 는 “사람들은 묵은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것을 즐거운 마음으로만 보지는 않는다. 옛사람은 이럴 때일수록 내 마음에 선과 악이 드러나기 전 그 조짐을 살피고, 세상이 맑아질 지 혼탁해질지 그 흐름을 미리 살폈다”라고 말하며 “낡은 것은 버리고 새 것을 받아들이되, 낡은 것의 가치도 다시 생각하고 새 것의 폐단도 미리 봐야 한다. 이것이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마음이며, 진정한 제구포신의 정신이다”라고 추천이유를 밝혔다.  








   
“어느 때보다도 바람직한 새로운 변화가 절실하게 요청되기 때문”에 제구포신을 선택한 임기중 동국대 명예교수(국문학)처럼 교수들은 새로운 변혁의 바람에 대한 기대를 표현했다. 윤창식 초당대 교수(영어학) 역시 “역사는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는데, 한국의 미래는 어두운 과거의 그늘을 벗어나 희망의 기운으로 나아갔으면 한다”라는 바람을 비쳤다.


 지난 대선이 한국사회에 남긴 생채기를 보듬어야 한다는 이유로 제구포신을 선택한 박명진 중앙대 교수(국문학)는 “대선을 통해 고질적인 지역 갈등, 이데올로기 갈등, 계층 간 갈등이 심화됐다. 새로운 정부는 구악을 퇴치하고 새로운 가치관과 시민의식을 고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태룡 경상대 교수
(사회학)는 “이제는 과거의 행태를 바꿔야 한다. 기존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반성이 필요하다”며 생태적 삶을 시민 모두가 함께 꾸려나가도록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

서관모 충북대 교수(사회학) 역시 “낡은 정치, 낡은 의식, 낡은 가치가 청산되고 새로운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라고 추천 이유를 밝혔다.



교육계의 반응도 비슷했다. 성장제일주의로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교육을 경쟁으로 몰아넣은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실망감을 드러낸 장수명 한국교원대 교수(교육정책학)는 “청년세대가 희망을 갖고 새 시대를 시작하고 중년들이 이 나라를 올바른 기초 위에 다시 세우는 기회가 있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제구포신 다음으로 28.4%(176명)가 ‘圓融會通(원융회통)’을 선택했다. 임기 말까지 불통의 모습을 보였던 이명박 정부와 아름다운 단일화의 실패로 정권교체를 창출하지 못한 야권의 모습은 이제 뒤로 하고 서로가 소통하는 한 해를 열자는 의미로 읽힌다.

28.1%(175명)가 선택한 ‘與民同樂(여민동락)’을 추천한 오항녕 전주대 교수(사학)는 “정치를 하는 사람들이 백성들이 즐거워야 나라가 안정된다는 진리를 실천했으면 좋겠다”라고 추천이유를 밝혔다.               


윤상민 기자 cinemonde@kyosu.net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5077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0082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32492
1567 고단한 길 1 성사마 2010.04.18 26461
1566 갤러리 아트사간 개관 1주년 기념 기획전 Contemplation 2010.11.19-12.14 1 아트사간 2010.11.30 26446
1565 '무소유' 법정 스님, 위중 바람의종 2010.03.05 26433
1564 좋은글 저는 이 강가에서 수달을 마지막으로 본 세대가 될지도 모릅니다. 바람의종 2010.07.31 26401
1563 고무신 한 켤레 바람의종 2010.11.26 26390
1562 [re] "수녀 18명 무차별 연행, 정부가 직접 사과해야" 바람의종 2012.01.17 26385
1561 두 개의 가방 바람의종 2010.09.03 26344
1560 좋은글 소설가 이외수가 자신의 트위터에 남긴 가을 잠언 바람의종 2009.10.27 26335
1559 다툼의 막대 바람의종 2011.11.25 26332
1558 좋은글 모든 것을 잃은 뒤에 바람의종 2010.06.11 26259
1557 준비된 행운 바람의종 2011.02.12 26250
1556 첫인사(등업신청) 안녕하세요 1 나오지 2017.04.23 26216
1555 다녀갑니다.. /한방과 양방의 ‘폭염’ 처방전 1 바람의 소리 2007.08.20 26171
1554 정부 5·18 홀대에 사상 첫 기념식 파행…파장 우려 1 바람의종 2010.05.18 26044
1553 좋은글 무엇이 보이느냐 바람의종 2010.07.04 26042
1552 좋은글 고원의 도시 태백에서 바람의종 2009.03.14 26018
1551 좋은글 갈밭에서 - 열네번째 이야기 바람의종 2010.07.06 26010
1550 가루지기가 뭐예요? 홍당무 2008.05.29 25975
1549 좋은글 낙동 정맥의 끝자락에 서서 바람의종 2009.04.13 259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