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8 15:43

'ㅢ' 의 발음

조회 수 4843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ㅣ[j]'에서 시작해서 'ㅏ'로 끝나면 'ㅑ'가 되고, 'ㅓ'로 끝나면 'ㅕ'가 되고, 'ㅗ'로 끝나면 'ㅛ'가 되고, 'ㅜ'로 끝나면 'ㅠ'가 됩니다. 'ㅜ[w]'에서 시작해서 'ㅏ'로 끝나면 'ㅘ'가 되고, 'ㅐ'로 끝나면 'ㅙ'가 되고, 'ㅓ'로 끝나면 'ㅝ'가 되고, 'ㅔ'로 끝나면 'ㅞ'가 되지요. 이처럼 이중 모음은 'ㅣ[j]' 아니면 'ㅜ[w]'로 시작해서 다른 소리로 끝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런 방식으로 이중 모음을 발음하는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ㅢ'는 여느 이중 모음들과는 달리 'ㅡ'로 시작해서 'ㅣ[j]'로 끝납니다. 'ㅣ[j]'로 끝나는 유일한 이중 모음인 셈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른 이중 모음을 발음할 때에 비해서 'ㅢ'를 발음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깁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사람들은 'ㅢ'를 곧이곧대로 발음하려 하지 않고 좀 더 편하게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표준 발음법> 제5항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따른 'ㅢ'의 발음법을 규정해 놓았습니다. 'ㅢ'의 발음법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의'와 'ㅢ'를 구분해야 합니다. '의'는 말 그대로 '의'라는 글자를 가리키고, 'ㅢ'는 '의'뿐만 아니라 '늬, 띄, 틔, 희' 따위에 쓰인 'ㅢ'를 두루 가리킵니다. 먼저, '의'는 [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①처럼 낱말의 첫머리에 나올 때는 [ㅢ]로만 발음해야 합니다. ②처럼 낱말의 둘째 음절 이하에 나올 때는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ㅣ]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됩니다. ③과 같이 조사로 쓰인 '의'는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에]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됩니다.

① 의사醫師 [의사]                     의경義警 [의ː경]
② 하의下衣 [하ː의/하ː이]        협의協議 [혀븨/혀비]
③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소원     나의[나의/나에] 고향

그럼, '민주주의의 의의'는 어떻게 발음하면 될까요? 원칙을 적용하면 [민주주의의 의ː의]와 같이 발음해야 하지만, 허용 규정을 적용하면 [민주주이에 의ː이]와 같이 편하게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세 번째 나오는 '의'만큼은 어느 때건 [의]로 발음해야 한다는 점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의'가 아닌 'ㅢ', 즉 '늬, 띄, 씌, 틔, 희' 등과 같이 자음과 함께 쓰인 'ㅢ'는 ④와 같이 [ㅣ]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때는 글자 모양에 이끌려 [ㅢ]로 발음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④ 늴리리 [닐리리] (○) / [늴리리] (×)
    씌다 [씨다] (○) / [씌다] (×)
    유희遊戱 [유히] (○) / [유희] (×)

그럼, '문의 무늬가 무엇인지 문의하다'는 어떻게 발음하면 될까요? 첫 어절 '문의'의 '의'는 조사이므로 [ㅢ] 또는 [ㅔ]로 발음합니다. 하지만 '무늬'의 'ㅢ'는 자음과 함께 쓰였으므로 [ㅣ]로만 발음해야 합니다. '문의하다'의 '의'는 낱말의 둘째 음절 이하에 나온 '의'이므로 [ㅢ] 또는 [ㅣ]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⑤ 문의[무늬/무네] 무늬가[무니가] 무엇인지 문의하다[무ː늬하다/무ː니하다].

 






글_ 이대성 | 어문연구팀 학예연구관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1. 황석영 - 5.18강의

    Date2024.05.22 Category동영상 By風文 Views9380
    read more
  2.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Date2023.12.30 Category음악 By風文 Views38681
    read more
  3. 가기 전

    Date2023.11.03 Category사는야그 By風文 Views41123
    read more
  4.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Date2019.06.20 Category동영상 By風文 Views4563
    read more
  5. 0:04 / 3:45 2 UNLIMITED - No Limit (Rap Version)

    Date2022.11.13 Category음악 By風文 Views1786
    Read More
  6. 05월 02일 장애안내

    Date2010.04.29 By바람의종 Views32801
    Read More
  7. ,,,,,,^^

    Date2008.05.19 Category사는야그 By서민경 Views31904
    Read More
  8. '통신비밀공개법' 아닌가?

    Date2009.02.12 By바람의종 Views18335
    Read More
  9. '죽어가는 4대강' 영상 보셨나요?

    Date2010.05.31 By바람의종 Views33643
    Read More
  10. '주식회사' 명칭도, 노동'조합' 이름도 바뀌어야

    Date2009.10.08 By바람의종 Views4132
    Read More
  11. '자유로운 유럽 중세도시'라는 신화

    Date2009.08.02 By바람의종 Views4406
    Read More
  12.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Date2023.01.25 Category좋은글 By風文 Views1466
    Read More
  13. '엄마의 밥'

    Date2017.02.26 Category동영상 By風文 Views13607
    Read More
  14.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작가 초청

    Date2023.04.28 By風文 Views1842
    Read More
  15. '서거(逝去)' 역시 일본식 한자

    Date2009.11.29 By바람의종 Views4334
    Read More
  16. '무소유' 법정 스님, 위중

    Date2010.03.05 By바람의종 Views26717
    Read More
  17. '먼저 먼 길을 떠나셨네요' 이해인 수녀의 법정스님 추모글

    Date2010.03.14 Category좋은글 By바람의종 Views27294
    Read More
  18. '독도는 조선땅'..日지도 첫 공개

    Date2010.04.01 By바람의종 Views35279
    Read More
  19. '대통령'은 일본식 용어

    Date2009.10.27 By바람의종 Views4580
    Read More
  20. '넌 나에게 모욕감을 줬어' vs '광고패러디'

    Date2023.05.03 Category낄낄 By風文 Views2165
    Read More
  21. '긴 이야기(novel)'가 어째서 '小說'이 되었을까?

    Date2009.11.03 By바람의종 Views4347
    Read More
  22. 'ㅢ' 의 발음

    Date2012.11.28 By바람의종 Views48432
    Read More
  23. "이 새끼" 노래자랑 1위 팀 (천공 등장)

    Date2024.04.08 Category음악 By風文 Views163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