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1.28 15:43

'ㅢ' 의 발음

조회 수 4844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ㅣ[j]'에서 시작해서 'ㅏ'로 끝나면 'ㅑ'가 되고, 'ㅓ'로 끝나면 'ㅕ'가 되고, 'ㅗ'로 끝나면 'ㅛ'가 되고, 'ㅜ'로 끝나면 'ㅠ'가 됩니다. 'ㅜ[w]'에서 시작해서 'ㅏ'로 끝나면 'ㅘ'가 되고, 'ㅐ'로 끝나면 'ㅙ'가 되고, 'ㅓ'로 끝나면 'ㅝ'가 되고, 'ㅔ'로 끝나면 'ㅞ'가 되지요. 이처럼 이중 모음은 'ㅣ[j]' 아니면 'ㅜ[w]'로 시작해서 다른 소리로 끝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런 방식으로 이중 모음을 발음하는 것을 편안하게 여긴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ㅢ'는 여느 이중 모음들과는 달리 'ㅡ'로 시작해서 'ㅣ[j]'로 끝납니다. 'ㅣ[j]'로 끝나는 유일한 이중 모음인 셈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른 이중 모음을 발음할 때에 비해서 'ㅢ'를 발음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깁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사람들은 'ㅢ'를 곧이곧대로 발음하려 하지 않고 좀 더 편하게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표준 발음법> 제5항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따른 'ㅢ'의 발음법을 규정해 놓았습니다. 'ㅢ'의 발음법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의'와 'ㅢ'를 구분해야 합니다. '의'는 말 그대로 '의'라는 글자를 가리키고, 'ㅢ'는 '의'뿐만 아니라 '늬, 띄, 틔, 희' 따위에 쓰인 'ㅢ'를 두루 가리킵니다. 먼저, '의'는 [의]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①처럼 낱말의 첫머리에 나올 때는 [ㅢ]로만 발음해야 합니다. ②처럼 낱말의 둘째 음절 이하에 나올 때는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ㅣ]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됩니다. ③과 같이 조사로 쓰인 '의'는 [ㅢ]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에]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됩니다.

① 의사醫師 [의사]                     의경義警 [의ː경]
② 하의下衣 [하ː의/하ː이]        협의協議 [혀븨/혀비]
③ 우리의[우리의/우리에] 소원     나의[나의/나에] 고향

그럼, '민주주의의 의의'는 어떻게 발음하면 될까요? 원칙을 적용하면 [민주주의의 의ː의]와 같이 발음해야 하지만, 허용 규정을 적용하면 [민주주이에 의ː이]와 같이 편하게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세 번째 나오는 '의'만큼은 어느 때건 [의]로 발음해야 한다는 점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의'가 아닌 'ㅢ', 즉 '늬, 띄, 씌, 틔, 희' 등과 같이 자음과 함께 쓰인 'ㅢ'는 ④와 같이 [ㅣ]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때는 글자 모양에 이끌려 [ㅢ]로 발음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④ 늴리리 [닐리리] (○) / [늴리리] (×)
    씌다 [씨다] (○) / [씌다] (×)
    유희遊戱 [유히] (○) / [유희] (×)

그럼, '문의 무늬가 무엇인지 문의하다'는 어떻게 발음하면 될까요? 첫 어절 '문의'의 '의'는 조사이므로 [ㅢ] 또는 [ㅔ]로 발음합니다. 하지만 '무늬'의 'ㅢ'는 자음과 함께 쓰였으므로 [ㅣ]로만 발음해야 합니다. '문의하다'의 '의'는 낱말의 둘째 음절 이하에 나온 '의'이므로 [ㅢ] 또는 [ㅣ]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⑤ 문의[무늬/무네] 무늬가[무니가] 무엇인지 문의하다[무ː늬하다/무ː니하다].

 






글_ 이대성 | 어문연구팀 학예연구관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동영상 황석영 - 5.18강의 風文 2024.05.22 9431
공지 음악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風文 2023.12.30 39192
공지 사는야그 가기 전 風文 2023.11.03 41592
공지 동영상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風文 2019.06.20 4590
1075 라뷔린토스의 미궁 바람의종 2010.03.26 3691
1074 르네상스, 무엇이 문제인가? 바람의종 2009.08.06 3694
1073 미국 문학 속에서 캐낸 호기심 바람의종 2010.03.23 3694
1072 도시속 신선 이야기 - 3. 수련 단계에 대한 욕심 바람의종 2010.06.01 3695
1071 동영상 이선희 '그 중에 그대를 만나' 뮤비를 보고 風文 2020.08.02 3695
1070 동영상 2018 대한민국 해군 국제 관함식 風文 2019.02.02 3696
1069 미망인 바람의종 2008.01.08 3697
1068 도시속 신선 이야기 - 7, 8 바람의종 2010.07.18 3704
1067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고양이의 목숨은 9개다 바람의종 2011.10.25 3716
1066 도시속 신선 이야기 - 9 바람의종 2010.07.23 3717
1065 대장장이 발칸 바람의종 2007.02.11 3722
1064 기호지세 바람의종 2007.12.15 3733
1063 재미있는 계산 바람의종 2010.03.12 3735
1062 동영상 Bryan Adams - Heaven (Live At Wembley 1996) 風文 2020.09.22 3736
106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1. 신부를 약탈하던 풍습 바람의종 2010.11.03 3737
1060 유럽중심주의 역사학은 누가 만들었나 바람의종 2009.07.17 3740
1059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바람의종 2007.08.16 3743
1058 천리안 바람의종 2008.03.18 3743
1057 속도, 플라밍고는 왜 한 다리로 서 있나? 바람의종 2010.03.16 37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