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747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대교구, 안중근 의사 시복 추진
안의사 외 551명… '백서 사건' 황사영도 포함












'살인죄'로 일제에 의해 교수형을 당한 안중근(1879~1910) 의사가 로마교황청에 의해 복자(福者), 나아가 성인(聖人) 반열에 오르게 될까.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31일 "지난해 6월 구성된 서울대교구 시복시성준비위원회가 기초 자료를 조사하고 검토해 안 의사를 비롯한 551명을 시복 추진 대상자로 선정, 그 명단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시복 추진 대상자 551명은 안 의사 등 '근ㆍ현대 신앙의 증인' 24명과 '조선왕조 치하의 순교자와 증거자' 527명이다.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가 시복 대상자 명단을 확정해 교황청에 제출하면 교황청이 시복 여부를 결정한 뒤 교황이 이를 최종 재가한다.

시복시성(諡福諡聖)은 가톨릭 교회가 복자나 성인을 공식 선포함으로써 신자들이 공적으로 공경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회가 복자로 선언하는 '시복'은 성인으로 선언하는 '시성'의 전 단계다. 전 세계 교회가 공경하는 '성인'과 달리 '복자'는 해당 지역 교회나 단체에서만 공경할 수 있다. 현재 한국 천주교인과 사제, 한국에서 활동한 외국 선교사 중 성인의 반열에 오른 이는 김대건(1821~1846) 신부 등 순교자 103위(位)다.

안 의사는 1895년 세례를 받고 황해도 해주와 옹진 일대에서 전교 활동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 그러나 조선침략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처단한 행위가 천주교가 금하는 '살인행위'라는 이유로 가톨릭 신자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1993년 복권됐다.

평신도 신학자인 황종렬 박사(두물머리복음화연구소장)는 지난달 28일 서울대교구가 마련한 '시복시성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안 의사가 이토를 사살한 것은 이기적이거나 단순한 살인이 아니라 하느님의 정의에 수용 가능한 살인이었다"고 시복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황 박사는 "전쟁에서 살인을 저지른 잔 다르크가 성인의 반열에 오른 점을 볼 때 안 의사도 자격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번 시복 추진 대상자 명단에는 베이징 주교에게 '천주교를 박해하는 조선왕조를 무너뜨리기 위해 서양의 군대를 파견해달라'는 내용의 백서(帛書)를 보내려다 발각돼 처형당한 황사영(1775~1801)도 포함됐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이장우 연구실장은 "안 의사와 달리 황사영은 민족적 입장에서 볼 때 복자가 되기에는 논란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교회의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에서 로마 교황청 시성성에 제출된 시복 청원은 2,000여건"이라며 "이번 안 의사를 비롯한 대상자들이 교황청에서 심사를 받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1. 황석영 - 5.18강의

    Date2024.05.22 Category동영상 By風文 Views8894
    read more
  2.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Date2023.12.30 Category음악 By風文 Views37250
    read more
  3. 가기 전

    Date2023.11.03 Category사는야그 By風文 Views39654
    read more
  4.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Date2019.06.20 Category동영상 By風文 Views4266
    read more
  5. 임진왜란 때 경복궁을 불태운 건 백성들이다?

    Date2011.11.23 By바람의종 Views36470
    Read More
  6. 광화문 앞 해태는 화기를 막기 위한 것이다?

    Date2011.11.21 Category좋은글 By바람의종 Views29121
    Read More
  7.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출생증명으로 쓰이던 달걀

    Date2011.11.21 By바람의종 Views3788
    Read More
  8. 영화 ‘위대한 침묵’의 카르투시오 수도회

    Date2011.11.21 By바람의종 Views45369
    Read More
  9. 경주 첨성대가 천문대 맞나요? 논란 속 진실은?

    Date2011.11.20 By바람의종 Views39750
    Read More
  10.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유령들의 축제

    Date2011.11.20 By바람의종 Views3641
    Read More
  11. 전순영 시인님의 에세이집입니다.

    Date2011.11.18 By바람의종 Views30047
    Read More
  12. 문익점은 붓두껍에 목화씨를 몰래 감춰 왔다?

    Date2011.11.17 By바람의종 Views33500
    Read More
  1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설날은 1월 1일이 아니다

    Date2011.11.17 By바람의종 Views3799
    Read More
  14. 바보 온달은 평강공주와 결혼한 덕분에 출세했다?

    Date2011.11.16 By바람의종 Views31201
    Read More
  15.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성문란을 막기 위해 생긴 날?

    Date2011.11.16 By바람의종 Views4637
    Read More
  16.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포스트 맨은 벨을 두 번 누르지 않는다

    Date2011.11.15 By바람의종 Views3559
    Read More
  17. 1천500억 상당 재산환원 안철수 이메일 전문

    Date2011.11.15 By바람의종 Views26727
    Read More
  18. 고려장은 고려시대의 장례 풍습이다?

    Date2011.11.14 By바람의종 Views34559
    Read More
  19.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크리스마스 트리를 발견한 사람은?

    Date2011.11.14 By바람의종 Views3243
    Read More
  20. "7대 경관,민간재단에 놀아나···후진국에서 일어날 일"

    Date2011.11.14 By바람의종 Views38251
    Read More
  21.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낙타를 타고 온 산타클로스

    Date2011.11.13 By바람의종 Views3233
    Read More
  22. 노무현을 관에서 꺼내… “패륜 퍼포먼스” 어버이연합에 비난여론

    Date2011.11.11 By바람의종 Views30325
    Read More
  23. 문화의 171가지의 표정 - 2. 예수의 생일이 12월 25일이었을까?

    Date2011.11.11 By바람의종 Views306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