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0350 추천 수 3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확한가는 모릅니다만 아는대로 몇자 적습니다.


 


사극을 보면 역병이 도는 장면이 나옵니다.


시신이 너무 많아 멍석으로 덮어놓고 방치하는 장면도 있지만


지게에 시신을 짊어지고 묻으러 가는 사람들도 보입니다.


그 지게를 보면 시신이 가로로 누워있죠?


그래서 지게에 가로로 시신을 진다 해서 가루지기입니다.


 


19세기초 기록에 있지만 구전되는 판소리 특성상 그 이전에도 변강쇠가 또는 가루지기타령이


불려지고 있었습니다. 전수자는 없고 고종때까지 변강쇠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네요.


 


남남북녀라는 말이 있죠. 북쪽 옹녀와 남쪽에 사는 변강쇠가 한 곳에 만나 살게 되는 곳이


청석골입니다.


그 청석골에 옹녀와 변강쇠가 살았는데 옹녀는 먹고살려고 애를 썼지만 변강쇠란 놈은


하는 짓이 한량에 난봉질이라 옹녀가 꼭지가 돌았겠죠.


슬슬 달래서 지리산에 들어가 살게 되는 데 거기서 변강쇠가 땔감으로 장승를 가져와 태웁니다.


거기서 동티가 나 굳어버린 체로 서서 죽습니다.


 


- 동티(動土) 는 신을 잘못 건드려 병들어 죽는 것을 의미하죠? -


 


설은 다르지만 옹녀가 저 시신을 치워주면 같이 살겠다고 하자 청년들이 시신을 치우려 하지만


건드린 사내들은 다 죽습니다. 그중 납덱(?)인가 뎁득(?) 인가하는 청년이 지게에 가루지고 가다가


변강쇠의 시신이 지고가던 사내에 등에 가로로 붙습니다.


그자세로 땅에 붙어버리죠. 따라가던 사람들도 모두 땅에 붙어버립니다.


무당이 굿을 하자 시신이 떨어지고 지고 가던 청년은 시신이 떨어지자 곧바로 옹녀를 떠납니다.


 


제생각엔 고을을 지키는 장승을 기린다고 할 수도있고


조선후기에 피폐해진 백성들의 유랑생활을 풍자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신재효가 정리판소리본을 정설로 삼습니다만 구전되는 것이고 유사한 이야기는 지역마다 있습니다.


어떤 설은 옹녀의 음문이 세로가 아닌 가로로 되어 있었다 해서 가루지기라 하는 설도 있습니다.


 


 

?
  • ?
    홍당무 2008.06.05 11:30
    <P>고맙습니다...</P>
    <P> </P>
    <P>제가 들은 얘기가 두번째 설이었는데 첫번째 설이 더 구체적이군요.....</P>
    <P> </P>
    <P>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P>

자유글판

『아무거나 쓰세요. 손님도 글쓰기가 가능합니다.^^』

Title
  1. 황석영 - 5.18강의

  2. 부활 - 친구야 너는 아니 (시:이해인)

  3. 가기 전

  4. U2 - With Or Without You (U2 At The BBC)

  5. No Image 27Jun
    by 바람의종
    2008/06/27 by 바람의종
    Views 5108 

    전조림

  6. No Image 25Jun
    by 바람의종
    2008/06/25 by 바람의종
    Views 4779 

    인왕산 모르는 호랑이 없다

  7. No Image 24Jun
    by 바람의종
    2008/06/24 by 바람의종
    Views 6333 

    을축 갑자

  8. No Image 23Jun
    by 바람의종
    2008/06/23 by 바람의종
    Views 5201 

    용병하는 술모라

  9.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4916 

    오비가 삼척이라

  10.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5376 

    예황제 부럽지 않다

  11.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5509 

    여언이, 시야로다

  12. No Image 18Jun
    by 바람의종
    2008/06/18 by 바람의종
    Views 4843 

    언문 진서 섞어작

  13. No Image 17Jun
    by 바람의종
    2008/06/17 by 바람의종
    Views 4188 

    어우동

  14.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08/06/16 by 바람의종
    Views 5081 

    양주 밥 먹고 고양 구실 한다

  15.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08/06/15 by 바람의종
    Views 4065 

    안성 맞춤

  16. No Image 14Jun
    by 바람의종
    2008/06/14 by 바람의종
    Views 4181 

    악망위에 턱 걸었나?

  17.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3609 

    아무 때 먹어도 김가가 먹어

  18.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8/06/12 by 바람의종
    Views 4882 

    신 정승 구 정승

  19.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8/06/11 by 바람의종
    Views 4798 

    신이화가 많이 폈군!

  20.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8/06/09 by 바람의종
    Views 4489 

    습지자도 불가무라

  21. No Image 08Jun
    by 바람의종
    2008/06/08 by 바람의종
    Views 5263 

    술 잔 깨뜨린 건 파맹의 뜻

  22. No Image 07Jun
    by 바람의종
    2008/06/07 by 바람의종
    Views 5359 

    쇄골표풍

  23. No Image 05Jun
    by 바람의종
    2008/06/05 by 바람의종
    Views 4952 

    송도의 삼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01 Next
/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