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3.26 18:05

웃어른/ 윗집/ 위층

조회 수 15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웃어른/ 윗집/ 위층

걸 그룹 EXID의 ‘위아래’라는 노래가 인기다. “위아래 위 위 아래~” 흥겹고 반복적인 리듬에 묘한 중독성이 있어 나도 자주 흥얼거린다. ‘위’와 관련된 말 중에서 ‘웃-’ ‘윗-’ ‘위-’는 헷갈리기 쉽다.

웃어른? 윗어른? 표준어 규정에서는 ‘웃-’과 ‘윗-’은 ‘윗’으로 통일하고 있다. 다만 위아래의 대립이 없는 것은 ‘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윗목(아랫목), 윗도리(아랫도리), 윗마을(아랫마을), 윗집(아랫집), 윗니(아랫니)가 표준어가 되는 것이다. 어른의 경우 ‘웃어른’은 있지만 ‘아랫어른’은 없으므로 ‘웃어른’으로 쓴다. 마찬가지로 ‘웃풍’ ‘웃통’ ‘웃돈’이 표준어이다. 그러나 요즘은 ‘웃어른’이라는 말보다 ‘윗어른’이, ‘웃풍’이라는 말보다 ‘위풍’이 훨씬 많이 쓰이는 듯하다.

‘윗옷’과 ‘웃옷’은 무엇이 맞을까? 둘 다 표준어이지만 뜻이 다르다. ‘윗옷’은 위에 입는 옷, ‘상의(上衣)’의 뜻이 되고 ‘웃옷’은 맨 위에 입는 옷, 즉 ‘외투’의 뜻이 된다.

‘윗-’과 ‘위-’는 어떻게 구분하여 쓸까? 명사 ‘위’에 관형의 뜻을 지닌 사이시옷이 결합한 ‘윗-’이 붙는 것이 원칙이지만 된소리나 거친 소리 앞에서는 ‘위-’를 쓴다. 따라서 위층, 위쪽, 위짝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웃풍’ ‘웃통’도 ‘우풍’ ‘우통’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품을 수도 있겠다. ‘윗’은 명사 ‘위’에 사이시옷이 결합한 형태이지만 ‘웃-’은 그 자체가 ‘위’의 뜻을 가진 접두사이므로 ‘웃풍’ ‘웃통’이 맞다.

이것만 기억하자.“위아래 위 위 아래~” 위아래가 있으면 ‘윗-’, 위만 있으면 ‘웃-’으로 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99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51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30 

    “사겨라” “바꼈어요”

  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61 

    “산따” “고기떡” “왈렌끼”

  6.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63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7.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93 

    어이없다

  8.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584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9.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631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10.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670 

    ‘수놈’과 ‘숫놈’

  11.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727 

    말의 권모술수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732 

    잡담의 가치

  13.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734 

    서거, 별세, 타계

  14.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761 

    또 다른 공용어

  15.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778 

    법률과 애국

  16.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786 

    무제한 발언권

  17.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794 

    언어적 주도력

  18.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797 

    공공 재산, 전화

  19.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797 

    정치인들의 말

  20.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800 

    군인의 말투

  21. No Image 05May
    by 風文
    2020/05/05 by 風文
    Views 821 

    아무 - 누구

  22.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844 

    상투적인 반성

  23. No Image 05Sep
    by 風文
    2021/09/05 by 風文
    Views 851 

    또 다른 이름

  24.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856 

    악담의 악순환

  25.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881 

    고령화와 언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