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21 17:55

가던 길 그냥 가든가

조회 수 14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던 길 그냥 가든가

“딴 여자 찾아보던가/ 아니면 가던 길 지나가던가” 요즘 인기 있는 걸 그룹의 노래 가사다. 노래만 들을 때는 몰랐는데 텔레비전 화면에 가사가 자막으로 나오니 잘못된 표기가 눈에 띈다. 바로 ‘찾아보던가, 지나가던가’의 ‘던가’인데, ‘든가’로 써야 맞다. 그러면 ‘가던 길’도 ‘가든 길’로 써야 하나? ‘던’과 ‘든’은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하기 쉬운데 쓰임이 다른 말이므로 구분해서 써야 한다.

‘던’은 지난 일을 나타내는 ‘더’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붙어서 된 말로, 앞말이 과거에 일어난 일임을 나타낸다. ‘새집은 이전에 살던 집보다 훨씬 크다’거나 ‘깊던 물이 얕아졌다’처럼, ‘던’은 항상 과거와 관련 있는 상황에 쓰인다. 이 문장들에서 ‘살던’ 일은 지금이 아닌 과거의 일이고, 물이 깊었던 것도 이미 지나간 시절의 일이다.

‘든’은 ‘든지’ 또는 ‘든가’가 줄어진 말로, 선택과 관련된 상황에서 쓰인다. ‘노래를 부르든 춤을 추든 마음대로 해라’ ‘어디서 무엇을 하든 이것만은 기억하기 바란다’처럼 여러 대상들 중에 무엇이든 선택이 가능할 때 쓴다. 위 첫 번째 예문은 노래를 부르는 일과 춤을 추는 일 중에서 무엇을 해도 좋다는 의미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둘 이상이 직접 나열되진 않았지만 ‘어디서 무엇을’이라는 말이 다양하게 열린 가능성을 나타내므로 역시 선택의 의미가 들어 있다.

인용한 노래 가사는 ‘딴 여자를 찾든지 말든지’ ‘가던 길을 계속 가든지 말든지’ 상관 않겠다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선택의 ‘든’을 사용해서 ‘찾아보든가, 지나가든가’로 써야 맞다. 다만 ‘가던 길’의 ‘던’은 길을 걸어가는 행위가 잠시 전이긴 하지만 분명히 과거의 일이므로 ‘던’을 쓰는 게 맞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8598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503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0002
    read more
  4.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Date2022.05.25 By風文 Views985
    Read More
  5. 여보세요?

    Date2023.12.22 By風文 Views989
    Read More
  6. 불교, 경계를 넘다, 동서남북

    Date2022.08.15 By風文 Views990
    Read More
  7.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998
    Read More
  8. 내색

    Date2023.11.24 By風文 Views1001
    Read More
  9.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009
    Read More
  1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Date2022.05.23 By風文 Views1011
    Read More
  11. 영어 절대평가

    Date2022.05.17 By風文 Views1016
    Read More
  12. 부사, 문득

    Date2023.11.16 By風文 Views1017
    Read More
  13.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Date2022.08.18 By風文 Views1021
    Read More
  1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Date2022.02.13 By관리자 Views1022
    Read More
  15.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028
    Read More
  16. 뒷담화

    Date2020.05.03 By風文 Views1029
    Read More
  17.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Date2022.08.30 By風文 Views1036
    Read More
  18.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19. 안녕히, ‘~고 말했다’

    Date2022.10.11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20. 댄싱 나인 시즌 스리

    Date2023.04.21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21.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1039
    Read More
  2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Date2022.09.11 By風文 Views1039
    Read More
  23. 장녀, 외딸, 고명딸

    Date2023.12.21 By風文 Views1041
    Read More
  24.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Date2022.06.23 By風文 Views1047
    Read More
  25. 댕댕이, 코로나는 여성?

    Date2022.10.07 By風文 Views104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