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7:02

배레나룻

조회 수 15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레나룻

얼짱 열풍에 이어 몸짱 열풍이 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탄탄한 몸매를 만드는 데 많은 돈과 시간과 투자하고 있다. 몇몇 남자 연예인들은 자신의 식스팩(?)을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완벽한 몸매를 자랑한다. 이때 ‘배레나룻’도 함께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기도 한다. 그런데 ‘배레나룻’은 아직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새말이다.

‘배레나룻’은 ‘아랫배에 수염처럼 잇따라 길게 난 털’을 가리키기 위해 새로 만들어 낸 말이다.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뜻하는 ‘구레나룻’에 유추하여 만든 것이다. ‘구레나룻’은 ‘구레-나룻’처럼 분석되는데,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말로 그 어원이 분명하지만 ‘구레’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구레나룻’을 ‘귀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로 이해하여, ‘배 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을 뜻하는 말로서 ‘배레나룻’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그렇지만 ‘배레나룻’의 구체적인 말 만들기 과정은 불명확하다. 우선 ‘배’와 ‘구레나룻’을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레나룻’의 ‘구’가 절단된다. 달리 ‘구레나룻’을 ‘구’와 ‘-레나룻’으로 잘못 분석하여, ‘구’ 자리에 ‘배’를 집어넣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배’와 ‘-레나룻’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둘 다 우리말의 말 만들기 규칙과 큰 거리가 있어 아주 자연스럽지는 않다.

이렇듯 ‘배레나룻’이 불명확하고 자연스럽지 않게 새로 만든 말이지만, 순 우리말을 활용한 새말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최근 우리말의 새말 만들기에서 순 우리말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순 우리말을 활용하여 새말을 만들어 쓸 필요가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07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749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790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852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881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13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40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31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73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82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300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93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41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04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23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69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422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63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464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343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122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67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2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