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7:02

배레나룻

조회 수 15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레나룻

얼짱 열풍에 이어 몸짱 열풍이 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탄탄한 몸매를 만드는 데 많은 돈과 시간과 투자하고 있다. 몇몇 남자 연예인들은 자신의 식스팩(?)을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완벽한 몸매를 자랑한다. 이때 ‘배레나룻’도 함께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기도 한다. 그런데 ‘배레나룻’은 아직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새말이다.

‘배레나룻’은 ‘아랫배에 수염처럼 잇따라 길게 난 털’을 가리키기 위해 새로 만들어 낸 말이다.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뜻하는 ‘구레나룻’에 유추하여 만든 것이다. ‘구레나룻’은 ‘구레-나룻’처럼 분석되는데,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말로 그 어원이 분명하지만 ‘구레’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구레나룻’을 ‘귀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로 이해하여, ‘배 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을 뜻하는 말로서 ‘배레나룻’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그렇지만 ‘배레나룻’의 구체적인 말 만들기 과정은 불명확하다. 우선 ‘배’와 ‘구레나룻’을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레나룻’의 ‘구’가 절단된다. 달리 ‘구레나룻’을 ‘구’와 ‘-레나룻’으로 잘못 분석하여, ‘구’ 자리에 ‘배’를 집어넣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배’와 ‘-레나룻’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둘 다 우리말의 말 만들기 규칙과 큰 거리가 있어 아주 자연스럽지는 않다.

이렇듯 ‘배레나룻’이 불명확하고 자연스럽지 않게 새로 만든 말이지만, 순 우리말을 활용한 새말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최근 우리말의 새말 만들기에서 순 우리말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순 우리말을 활용하여 새말을 만들어 쓸 필요가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485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144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6390
    read more
  4.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Date2022.08.27 By風文 Views1212
    Read More
  5.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Date2022.06.28 By風文 Views1216
    Read More
  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219
    Read More
  7.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219
    Read More
  8.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220
    Read More
  9.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10.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224
    Read More
  1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27
    Read More
  12.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Date2022.06.07 By風文 Views1228
    Read More
  13. 언어의 혁신

    Date2021.10.14 By風文 Views1229
    Read More
  14.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229
    Read More
  15.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Date2022.05.25 By風文 Views1231
    Read More
  16.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Date2022.09.21 By風文 Views1233
    Read More
  17.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234
    Read More
  18.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1236
    Read More
  19.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237
    Read More
  20.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Date2022.06.08 By風文 Views1237
    Read More
  21.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22.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23. 모호하다 / 금쪽이

    Date2023.10.11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24.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Date2023.12.30 By風文 Views1239
    Read More
  25.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Date2022.07.13 By風文 Views124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