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8 17:02

배레나룻

조회 수 15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배레나룻

얼짱 열풍에 이어 몸짱 열풍이 일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탄탄한 몸매를 만드는 데 많은 돈과 시간과 투자하고 있다. 몇몇 남자 연예인들은 자신의 식스팩(?)을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완벽한 몸매를 자랑한다. 이때 ‘배레나룻’도 함께 노출함으로써 자신의 남성성을 한껏 드러내기도 한다. 그런데 ‘배레나룻’은 아직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 않은 새말이다.

‘배레나룻’은 ‘아랫배에 수염처럼 잇따라 길게 난 털’을 가리키기 위해 새로 만들어 낸 말이다. ‘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을 뜻하는 ‘구레나룻’에 유추하여 만든 것이다. ‘구레나룻’은 ‘구레-나룻’처럼 분석되는데, ‘나룻’은 ‘수염’을 뜻하는 말로 그 어원이 분명하지만 ‘구레’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이러한 ‘구레나룻’을 ‘귀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로 이해하여, ‘배 밑에 잇따라 길게 난 털’을 뜻하는 말로서 ‘배레나룻’을 새로 만든 것이다.

그렇지만 ‘배레나룻’의 구체적인 말 만들기 과정은 불명확하다. 우선 ‘배’와 ‘구레나룻’을 합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레나룻’의 ‘구’가 절단된다. 달리 ‘구레나룻’을 ‘구’와 ‘-레나룻’으로 잘못 분석하여, ‘구’ 자리에 ‘배’를 집어넣은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즉, ‘배’와 ‘-레나룻’을 결합하여 만든 것이다. 둘 다 우리말의 말 만들기 규칙과 큰 거리가 있어 아주 자연스럽지는 않다.

이렇듯 ‘배레나룻’이 불명확하고 자연스럽지 않게 새로 만든 말이지만, 순 우리말을 활용한 새말이라는 점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최근 우리말의 새말 만들기에서 순 우리말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왕이면 순 우리말을 활용하여 새말을 만들어 쓸 필요가 있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496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654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8Jun
    by 風文
    2022/06/28 by 風文
    Views 1222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5. No Image 04Aug
    by 風文
    2022/08/04 by 風文
    Views 1222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6. No Image 27Aug
    by 風文
    2022/08/27 by 風文
    Views 1223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7. No Image 16Nov
    by 風文
    2023/11/16 by 風文
    Views 1224 

    쓰봉

  8.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22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9.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226 

    올바른 명칭

  10.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229 

    개헌을 한다면

  11. No Image 07Jun
    by 風文
    2022/06/07 by 風文
    Views 1230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12. No Image 17May
    by 風文
    2022/05/17 by 風文
    Views 1230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13.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234 

    언어와 인권

  14. No Image 14Oct
    by 風文
    2021/10/14 by 風文
    Views 1237 

    언어의 혁신

  15. No Image 22Aug
    by 風文
    2022/08/22 by 風文
    Views 1238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16. No Image 30Oct
    by 風文
    2021/10/30 by 風文
    Views 1239 

    소통과 삐딱함

  17. No Image 11Oct
    by 風文
    2023/10/11 by 風文
    Views 1239 

    모호하다 / 금쪽이

  18. No Image 08Jun
    by 風文
    2022/06/08 by 風文
    Views 1240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19.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24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20. No Image 21Sep
    by 風文
    2022/09/21 by 風文
    Views 1242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21. No Image 21Nov
    by 風文
    2023/11/21 by 風文
    Views 1244 

    군색한, 궁색한

  22. No Image 25May
    by 風文
    2022/05/25 by 風文
    Views 1245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23.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246 

    일고의 가치

  24. No Image 26Jun
    by 風文
    2022/06/26 by 風文
    Views 1247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25.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24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