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1983년 6월 30일부터 장장 138일간에 걸쳐 5만여 명이 출연한 역사적 방송, 분단이 빚어낸 슬픈 감동의 드라마였다. 삼십 년이 지났지만 이산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얼마 전 금강산에서 이뤄진 이산가족 상봉을 보며 60년이 넘는 세월도 혈육의 인연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임을 다시 느꼈다.

흔히 인연을 얘기할 때 ‘뗄래야 뗄 수 없는’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의 잘못이다. ‘떼려야’는 ‘떼다’의 ‘떼’와 ‘려야’가 결합한 말로 ‘-려야’는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것이다. 즉 ‘떼려고 하여야 뗄 수 없는’이 줄어 ‘떼려야 뗄 수 없는’이 된 것이다. ‘떼’에 ‘ㄹ래야’가 결합한 ‘뗄래야’는 풀어 쓰면 ‘뗄라고 해야’가 되는데 이는 표준어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갈래야 갈 수 없는 고향’도 ‘가려야 갈 수 없는 고향’으로 쓰는 것이 맞다. ‘가려야’는 ‘갈라고 해야’가 아니라 ‘가려고 해야’가 줄어든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예는 수도 없이 많다. ‘먹을래야 먹을 수 없는 음식’이 아니라 ‘먹으려야 먹을 수 없는 음식’, ‘볼래야 볼 수 없는 광경’이 아니라 ‘보려야 볼 수 없는 광경’, ‘할래야 할 수 없는 일’이 아니라 ‘하려야 할 수 없는 일’로 쓰는 것이 맞다.

많은 사람들이 ‘떼려야’가 맞는 표현이라고 해도 ‘뗄래야’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아마도 입에 익지 않아서일 것이다.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뗄래야’를 계속 고집한다면 언젠가는 규정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아직은 아니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2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713
3436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630
34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474
3434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939
343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744
3432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525
3431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421
3430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764
3429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679
3428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376
3427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623
3426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322
3425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8903
3424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242
3423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077
3422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095
3421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185
3420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841
341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277
3418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055
3417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43
3416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624
3415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