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08 08:30

김치 담그셨어요?

조회 수 17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치 담그셨어요?

가뭄에도 불구하고 올해 배추와 무의 작황이 나쁘지 않다고 한다. 그런데도 김장철을 앞둔 재배 농가의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은 것 같다. 배추 파동으로 김치가 금치가 되는 해가 있는가 하면 어느 해에는 수확도 하지 않은 밭을 갈아엎기도 하고…. 가슴 아픈 일이다. 소비자도 농민도 올해는 모두 웃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그는 김장은 우리 민족의 중요한 연중행사이다. 그런데 ‘김치를 담그다’와 ‘김치를 담다’ 중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려 하는 사람이 많다. 김치나 술, 젓갈, 장 등의 재료를 버무리거나 물을 부어서 익거나 삭도록 두는 것은 ‘담그다’이다. ‘담다’는 그릇 등에 뭔가를 넣는 것을 말하므로 ‘담그다’와 구별해서 써야 한다. ‘담그다’가 원형이기 때문에 ‘담아’ ‘담으니’ ‘담았다’가 아니라 ‘담가’ ‘담그니’ ‘담갔다’ 등으로 쓴다. 이렇게 기억하면 쉽다. “담근 김치를 독에 담았다”.

파나 무채, 젓갈 같은 것을 고춧가루와 잘 버무린 것을 절인 배추 사이사이에 넣어 주는 ‘김칫소’는 수육과 곁들이면 별미 중의 별미이다. 김장하는 날이 동네 잔칫날이 되는 이유이다. 흔히 ‘김칫속’이라 하는데 이는 ‘김칫소’의 잘못이다. 송편이나 만두. 김치 등의 속 재료는 ‘소’이다. ‘오이소박이’는 오이 사이사이에 소를 박아 넣은 김치다. ‘오이소배기’는 틀린 말이다. 마찬가지로 ‘차돌배기’가 아니라 ‘차돌박이’가 맞다.
|
종류가 200 가지가 넘는다는 김치 중에 내가 가장 좋아하는 김치는 총각김치다. 잘 익은 총각김치만 있으면 다른 반찬은 필요 없다. 무청의 생김새가 총각이 머리를 땋은 것과 비슷해서 ‘총각무’가 되었단다. ‘알타리무’ ‘알무’ ‘달랑무’라고도 하는데 ‘총각무’만 표준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2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311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221 

    옹알이

  5. No Image 11Feb
    by 風文
    2022/02/11 by 風文
    Views 1229 

    역사와 욕망

  6. No Image 01Feb
    by 風文
    2023/02/01 by 風文
    Views 1230 

    말의 세대 차

  7.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231 

    영어의 힘

  8. No Image 26May
    by 風文
    2022/05/26 by 風文
    Views 123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9. No Image 25Jul
    by 風文
    2022/07/25 by 風文
    Views 1232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10.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235 

    상석

  11. No Image 23Aug
    by 風文
    2022/08/23 by 風文
    Views 123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12.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1240 

    장녀, 외딸, 고명딸

  13.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241 

    마그나 카르타

  14. No Image 06Jul
    by 風文
    2022/07/06 by 風文
    Views 1241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15. No Image 24Feb
    by 風文
    2022/02/24 by 風文
    Views 1242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16.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243 

    더(the) 한국말

  17. No Image 27Apr
    by 風文
    2022/04/27 by 風文
    Views 124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18. No Image 09May
    by 風文
    2022/05/09 by 風文
    Views 1244 

    인종 구분

  19.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245 

    가짜와 인공

  20. No Image 19Jun
    by 風文
    2022/06/19 by 風文
    Views 1247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21. No Image 30Jun
    by 風文
    2023/06/30 by 風文
    Views 1248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22. No Image 29Aug
    by 風文
    2022/08/29 by 風文
    Views 1250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23. No Image 16Sep
    by 風文
    2022/09/16 by 風文
    Views 1250 

    그림과 말, 어이, 택배!

  24.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50 

    아주버님, 처남댁

  25. No Image 07Sep
    by 風文
    2022/09/07 by 風文
    Views 1252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