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9 09:32

헷갈리는 맞춤법

조회 수 18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헷갈리는 맞춤법

이성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나온 결과이다. 인터넷과 SNS에서는 맞춤법을 일부러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정겹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도가 지나치다 싶을 때도 있다. 그래도 일부러 틀리는 것과 모르고 틀리는 것은 구별하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은 생각도 든다.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어미와 관련된 것이 많다. ‘-데요’와 ‘-대요’는 뜻이 다르다. ‘-데(요)’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할 때 쓰는 반면에 ‘-대(요)’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쓴다.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데(요)”라고 하면 “모스크바에 가봤더니 날씨가 춥더라”는 뜻이다. 하지만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대(요)”라고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스크바 날씨가 춥다고 하더라”는 뜻이 된다.

‘-에요’와 ‘-예요’는 발음상의 편의에 따라 구분된다. 받침이 있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를 쓴다. “연필이에요” “책이에요” “ 물이에요” “학교예요” “어디예요” “누구예요”와 같이 쓴다. 그렇다면 ‘아니에요’가 맞을까? ‘아니예요’가 맞을까?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어간‘아니’에 ‘에요’가 붙어 ‘아니에요’가 된다.

‘되’와 ‘돼’도 쓸 때마다 고민하게 된다. ‘되어’로 바꿀 수 있으면 ‘돼’가 맞다. ‘되어요’ ‘되어서’ ‘되었고’ ‘되었다’가 줄어서 ‘돼요’ ‘돼서’ ‘됐고’ ‘됐다’가 된다. ‘되’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붙어 ‘되고’ ‘되니까’ ‘되는데’처럼 쓴다. ‘되’는 어간으로 홀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안 되”가 아니라 “안 돼”가 맞는 것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566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19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175
    read more
  4. 법과 도덕

    Date2022.01.25 By風文 Views1303
    Read More
  5.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Date2022.07.11 By風文 Views1303
    Read More
  6.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Date2022.07.21 By風文 Views1305
    Read More
  7.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Date2022.06.10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8. 아니오 / 아니요

    Date2023.10.08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9. 야민정음

    Date2022.01.21 By風文 Views1307
    Read More
  10. 과잉 수정

    Date2022.05.23 By風文 Views1307
    Read More
  11.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308
    Read More
  12. '김'의 예언

    Date2023.04.13 By風文 Views1309
    Read More
  13. 개념의 차이, 문화어

    Date2022.06.13 By風文 Views1311
    Read More
  14. 정당의 이름

    Date2022.01.26 By風文 Views1313
    Read More
  15.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Date2022.07.22 By風文 Views1313
    Read More
  16. 난민과 탈북자

    Date2021.10.28 By風文 Views1315
    Read More
  17. 교정, 교열 / 전공의

    Date2020.05.27 By風文 Views1316
    Read More
  18.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Date2022.06.09 By風文 Views1316
    Read More
  19. 저리다 / 절이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316
    Read More
  20. 외래어의 된소리

    Date2022.01.28 By風文 Views1317
    Read More
  21.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Date2022.09.08 By風文 Views1317
    Read More
  22. 매뉴얼 / 동통

    Date2020.05.30 By風文 Views1318
    Read More
  23. 날씨와 인사

    Date2022.05.23 By風文 Views1319
    Read More
  2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Date2022.07.27 By風文 Views1322
    Read More
  25. 세계어 배우기

    Date2022.05.11 By風文 Views13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