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9 09:32

헷갈리는 맞춤법

조회 수 24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헷갈리는 맞춤법

이성이 맞춤법을 자주 틀리면 호감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대학생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나온 결과이다. 인터넷과 SNS에서는 맞춤법을 일부러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정겹게 느껴질 때도 있지만 도가 지나치다 싶을 때도 있다. 그래도 일부러 틀리는 것과 모르고 틀리는 것은 구별하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다행이다 싶은 생각도 든다.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어미와 관련된 것이 많다. ‘-데요’와 ‘-대요’는 뜻이 다르다. ‘-데(요)’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할 때 쓰는 반면에 ‘-대(요)’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쓴다.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데(요)”라고 하면 “모스크바에 가봤더니 날씨가 춥더라”는 뜻이다. 하지만 “모스크바는 날씨가 춥대(요)”라고 하면 “다른 사람들이 모스크바 날씨가 춥다고 하더라”는 뜻이 된다.

‘-에요’와 ‘-예요’는 발음상의 편의에 따라 구분된다. 받침이 있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서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를 쓴다. “연필이에요” “책이에요” “ 물이에요” “학교예요” “어디예요” “누구예요”와 같이 쓴다. 그렇다면 ‘아니에요’가 맞을까? ‘아니예요’가 맞을까?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어간‘아니’에 ‘에요’가 붙어 ‘아니에요’가 된다.

‘되’와 ‘돼’도 쓸 때마다 고민하게 된다. ‘되어’로 바꿀 수 있으면 ‘돼’가 맞다. ‘되어요’ ‘되어서’ ‘되었고’ ‘되었다’가 줄어서 ‘돼요’ ‘돼서’ ‘됐고’ ‘됐다’가 된다. ‘되’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붙어 ‘되고’ ‘되니까’ ‘되는데’처럼 쓴다. ‘되’는 어간으로 홀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안 되”가 아니라 “안 돼”가 맞는 것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7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93
26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101
25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1080
24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1073
23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1065
22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1040
21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1038
20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1023
19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1023
18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1020
17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1020
16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1015
15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987
14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987
1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986
12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984
11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963
10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60
9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947
8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933
7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926
6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919
5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