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3 17:43

있다가, 이따가

조회 수 12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45
2732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7
2731 좋은 하루 되세요 바람의종 2008.08.28 6479
2730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481
2729 짠지 file 바람의종 2009.07.29 6482
2728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485
2727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487
27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489
272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490
2724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90
2723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90
2722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91
2721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96
2720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498
2719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499
2718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02
2717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508
2716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09
2715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2
2714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17
2713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20
2712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3
2711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