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3 17:43

있다가, 이따가

조회 수 13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73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322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314
    read more
  4.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Date2022.11.30 By風文 Views1304
    Read More
  5. 법과 도덕

    Date2022.01.25 By風文 Views1305
    Read More
  6.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Date2022.07.21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7. 아니오 / 아니요

    Date2023.10.08 By風文 Views1306
    Read More
  8. 과잉 수정

    Date2022.05.23 By風文 Views1307
    Read More
  9. 야민정음

    Date2022.01.21 By風文 Views1309
    Read More
  1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Date2022.06.10 By風文 Views1310
    Read More
  11.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311
    Read More
  12. 개념의 차이, 문화어

    Date2022.06.13 By風文 Views1311
    Read More
  13. 정당의 이름

    Date2022.01.26 By風文 Views1313
    Read More
  14.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Date2022.07.22 By風文 Views1313
    Read More
  15. 교정, 교열 / 전공의

    Date2020.05.27 By風文 Views1316
    Read More
  16.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Date2022.06.09 By風文 Views1316
    Read More
  17. 외래어의 된소리

    Date2022.01.28 By風文 Views1318
    Read More
  18. '김'의 예언

    Date2023.04.13 By風文 Views1319
    Read More
  19. 저리다 / 절이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319
    Read More
  20. 날씨와 인사

    Date2022.05.23 By風文 Views1321
    Read More
  21.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Date2022.09.08 By風文 Views1322
    Read More
  22. 매뉴얼 / 동통

    Date2020.05.30 By風文 Views1323
    Read More
  23. 난민과 탈북자

    Date2021.10.28 By風文 Views1323
    Read More
  2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Date2022.07.27 By風文 Views1326
    Read More
  25. 세계어 배우기

    Date2022.05.11 By風文 Views132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