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3 17:43

있다가, 이따가

조회 수 16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14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547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0Jan
    by 風文
    2022/01/30 by 風文
    Views 1539 

    사저와 자택

  5. No Image 28Jul
    by 風文
    2022/07/28 by 風文
    Views 1543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6. No Image 01Mar
    by 風文
    2023/03/01 by 風文
    Views 1544 

    울면서 말하기

  7. No Image 02May
    by 風文
    2020/05/02 by 風文
    Views 1545 

    살인 진드기

  8. No Image 09May
    by 風文
    2022/05/09 by 風文
    Views 1546 

    인종 구분

  9. No Image 16Jul
    by 風文
    2022/07/16 by 風文
    Views 1547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10. No Image 08Oct
    by 風文
    2023/10/08 by 風文
    Views 1547 

    금새 / 금세

  11. No Image 28Oct
    by 風文
    2021/10/28 by 風文
    Views 1548 

    난민과 탈북자

  12.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548 

    ‘내 부인’이 돼 달라고?

  13. No Image 15Jun
    by 風文
    2022/06/15 by 風文
    Views 1550 

    정보와 담론, 덕담

  14. No Image 25Jan
    by 風文
    2022/01/25 by 風文
    Views 1552 

    법과 도덕

  1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2/05/31 by 風文
    Views 1552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16. No Image 01Sep
    by 風文
    2022/09/01 by 風文
    Views 155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17. No Image 08Feb
    by 風文
    2022/02/08 by 風文
    Views 1555 

    언어적 적폐

  18. No Image 28Aug
    by 風文
    2022/08/28 by 風文
    Views 1555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19. No Image 28Jan
    by 風文
    2022/01/28 by 風文
    Views 1556 

    외래어의 된소리

  20. No Image 14Nov
    by 風文
    2023/11/14 by 風文
    Views 1556 

    본정통(本町通)

  21. No Image 20Nov
    by 風文
    2023/11/20 by 風文
    Views 1557 

    까치발

  22. No Image 31May
    by 風文
    2023/05/31 by 風文
    Views 1559 

    김 여사

  23.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561 

    유신의 추억

  24. No Image 20Jul
    by 風文
    2022/07/20 by 風文
    Views 1564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25. No Image 19Jul
    by 風文
    2022/07/19 by 風文
    Views 1567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