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9 16:52

‘~스런’

조회 수 14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런’

며칠 전 텔레비전을 보다 ‘의심스런’이라는 방송 자막을 접했다. 용언 어간 ‘의심스럽-’에 어미 ‘-은’이 결합할 때에는 ‘의심스럽-’의 말음 ‘ㅂ’이 ‘우’로 바뀌기 때문에 ‘의심스러운’으로 써야 한다. 그럼에도 일반 사람들은 ‘의심스러운’ 대신 ‘의심스런’을 더 많이 쓰고 있다.

우리말에서 ‘ㅂ’으로 끝나는 용언은 ‘잡-’(잡다·잡은·잡으니)처럼 어떤 부류의 어미와 결합하든 늘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있고, ‘덥다’(덥다·더워·더우니)처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ㅂ’이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ㅂ 규칙 용언’이라 하고 후자를 ‘ㅂ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의심스럽-’은 ‘ㅂ 불규칙 용언’에 속한다.

그런데 아주 오래 전부터 일상 구어(입말)에서는 ‘의심스럽-’처럼 ‘-스럽-’이 결합되어 파생된 형용사에 어미 ‘-은’을 결합할 때 ‘~스러운’ 대신 ‘~스런’을 써 왔다. ‘의심스런’, ‘자랑스런’, ‘장난스런’ 등이 모두 그렇다. 간결성을 추구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한 듯하다. 그렇지만 ‘가렵-’, ‘정답-’ 등의 다른 ‘ㅂ 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가려운’, ‘정다운’ 대신 ‘가련’, ‘정단’ 등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스러운’ 대신 ‘~스런’으로 쓰는 것은 잘못되거나 아주 예외적인 것이다.

과거의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도 ‘자랑스런’이 버젓이 쓰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개정된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는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처럼 ‘자랑스런’을 ‘자랑스러운’으로 수정하였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83
26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523
25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58
24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30
2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851
2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55
21 휘거 風文 2014.12.05 25086
20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813
1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043
18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370
17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881
16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608
15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180
1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741
13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249
12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82
1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74
10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76
9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6137
8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653
7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977
6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119
5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