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8 15:05

한소끔과 한 움큼

조회 수 19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소끔과 한 움큼

신혼 시절, 찌개라도 한번 끓이려면 친정어머니께 전화를 너 댓 번은 했다. “뭉근하게 오래 끓여야 맛이 우러난다.” “그건 팔팔 끓여야 되는 거야.” “한소금 끓으면 바로 건져내.” 불 조절이 요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걸 그때 깨달았다.

그때 다른 건 알겠는데 ‘한소금’이 얼마만큼인지는 정확하게 감이 오질 않았다. 어머니의 설명에 따르면 ‘거품이 한번 부르르 올라올 때까지’가 ‘한소금’이란다. 그런데 ‘한소금’을 사전에 찾으니 나오지 않는다. ‘한소쿰’ 혹은 ‘한소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소끔’이 표준어다.

‘한소끔’은 ‘한번 끓어오르는 모양’을 말한다. 조리법에서는 ‘새로운 재료를 넣은 뒤에 그 재료가 다시 한 번 끓을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한다. ‘밥이 한소끔 끓으면 불을 줄여야 한다’와 같이 쓸 수 있다. ‘한소끔’은 또 ‘일정한 정도로 한차례 진행되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다. ‘한소끔 잤다’라고 하면 ‘한숨 잤다’는 뜻이 된다. ‘한소끔 되게 앓았다’고 하면 ‘한차례 심하게 아팠다’는 뜻이다.

‘한 움큼’이라는 말도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이다. ‘움큼’의 발음이 쉽지 않기 때문인지 ‘웅큼’이라고 쓰는 경우를 자주 보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움큼’은 ‘손으로 한 줌 움켜쥘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로 ‘아이가 과자를 한 움큼 집었다’와 같이 쓸 수 있다. 근거는 없지만 ‘움켜쥘 만큼’이 줄어서 ‘움큼’이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본다.

우리말이 살아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단어를 소리 내는 것만으로 신기하게도 모양이나 소리, 느낌까지 그대로 연상이 될 때다. ‘한소끔’과 ‘한 움큼’도 나에게는 그런 말 중의 하나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10
48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433
47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153
4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7172
45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985
44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1089
43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386
42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755
41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784
40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700
39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369
3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225
3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963
36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504
35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412
34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237
33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6108
32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726
31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10139
30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355
29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710
28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607
27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3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