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1 15:15

장녀, 외딸, 고명딸

조회 수 13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녀, 외딸, 고명딸

엊그제 청첩장을 하나 받았다. 신부의 부모는 제 짝을 찾아 떠나는 딸이 대견하다면서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들에게 몇 마디 덕담을 건네고 돌아와 청첩장을 펴 보았다. 분명 일남일녀를 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부는 ○○○의 ‘장녀’로 표시돼 있었다. 남동생이 있긴 하지만 하나뿐인 딸인데, 그럴 때도 장녀라는 말을 쓰나?

‘장녀’는 ‘큰딸, 맏딸’과 같은 말로 딸이 둘 이상 있을 때 그 중 맏이가 되는, 첫째 딸을 가리킨다. 이 말은 ‘차녀’, ‘삼녀’ 등과 상대적인 개념이어서 여동생이 있을 때만 쓸 수 있는 말이다. ‘장남’도 마찬가지로 외아들인 경우에는 쓰지 않고, 남동생이 있을 때만 쓴다. 그렇다고 청첩장에 ‘외딸, 외아들’이라고 쓰기는 꺼려진다. ‘표준언어예절’에서는 이런 경우에 그냥 ‘딸’이나 ‘아들’로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나뿐인 딸을 가리키는 말은 ‘외딸’ 또는 ‘외동딸’이다. 이 말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무남독녀, 즉 다른 형제나 자매가 없이 단 하나뿐인 딸을 가리킬 때도 있고, 남자 형제는 있지만 딸로서는 하나밖에 없을 때도 쓴다.

아들이 여럿 있는 집의 외딸은 특별히 ‘고명딸’이라고 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양념딸’이라고도 한다. 음식에 맛을 더하고 모양과 빛깔을 돋보이게 하는 고명처럼 여러 아들 사이에 예쁘게 얹혀 있어 더욱 사랑스러운 딸이라는 뜻이다. 언뜻 딸을 매우 귀히 여기는 말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딸은 양념이나 고명처럼 구색 갖추기로 하나 정도만 끼어 있어야 좋다는 속뜻이 담겨있다. 반대로 딸이 여럿 있는 집의 외아들을 가리켜 ‘고명아들’이라고 하지 않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딸이 많을수록 좋다는 요즘 사람들에게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표현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5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0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81
»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364
2753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81
2752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55
2751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482
275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833
2749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4
2748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40
2747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807
2746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7
2745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618
2744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29
2743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35
2742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48
2741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37
2740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36
2739 자치동갑 바람의종 2010.10.18 11088
2738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255
2737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8059
273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55
2735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917
2734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6003
273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