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22 09:31

몰래 요동치는 말

조회 수 1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몰래 요동치는 말

아무래도 나는 좀스럽고 쪼잔하다. 하는 공부도 장쾌하지 못하여 ‘단어’에 머물러 있다. 새로 만들어진 말에도 별 관심이 없다. 겉모습은 그대로인데 속에선 요동치는 말에 관심 가지는 정도. 이를테면, ‘연필을 깎다’와 ‘사과를 깎다’에 쓰인 ‘깎다’는 같은 말인가, 다른 말인가, 하는 정도. 뜻이 한발짝 옆으로 옮아간 ‘물건값을 깎다’도 아니고, 그저 ‘연필’과 ‘사과’에 쓰인 ‘깎다’ 정도.

연필 깎는 칼과 사과 깎는 칼은 다르다. 연필 깎는 칼은 네모나고 손가락 길이 정도인 데다가 직사각형이다. 과일 깎는 칼은 끝이 뾰족하고 손을 폈을 때의 길이 정도이다. 연필은 바깥쪽으로 칼질하지만, 사과는 안쪽으로 해야 한다.

연필은 집게손가락 첫째 마디 위에 연필 끝을 올려놓고 반대편 손 엄지손가락으로 칼등을 밀어내며 깎는다. 사과는 손바닥으로 사과를 움켜쥐고 반대편 손은 사과 표면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넓게 벌렸다가 집게손가락에 닿아 있는 칼등을 엄지손가락이 있는 데까지 끌어당기면서 깎는다. 둘은 다르다고 해야겠군!

그래도 깎는 건 깎는 거니까 같다고? 좋다. 그러면 둘 다 같은 칼로, 같은 방향으로 깎는다고 치자. 그러면, 둘은 같은가? 행위에는 목적이나 결과가 있다. 연필을 깎으면 글을 쓰지만, 사과를 깎으면 먹는다. 두 동작(작동)의 목표와 결과는 다르다.

‘깎다’라는 말은 관념 속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사물과 연결된 미세한 행동방식과 함께 몸에 새겨져 있다. 우리는 이 세계를 온 감각을 동원하여 지각하며 이해하며 행위한다. 말은 말 홀로 머물러 있지 않고, 외부 환경에 조응하는 몸의 감각과 함께 연결되어 있음을 아는 것만으로 족하다. 좀스럽긴 하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472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135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6263
    read more
  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Date2021.10.31 By風文 Views1209
    Read More
  5.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Date2022.06.28 By風文 Views1211
    Read More
  6. 올바른 명칭

    Date2022.01.09 By風文 Views1212
    Read More
  7. 올해엔 저지른다, ‘죄송하지만’

    Date2022.08.04 By風文 Views1214
    Read More
  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Date2022.05.12 By風文 Views1216
    Read More
  9. 언어와 인권

    Date2021.10.28 By風文 Views1219
    Read More
  10.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221
    Read More
  11.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Date2022.06.07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12.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224
    Read More
  13.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Date2022.05.25 By風文 Views1224
    Read More
  14.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Date2022.07.13 By風文 Views1225
    Read More
  15. 언어의 혁신

    Date2021.10.14 By風文 Views1226
    Read More
  1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226
    Read More
  17. 어떤 청탁, ‘공정’의 언어학

    Date2022.09.21 By風文 Views1227
    Read More
  18.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Date2022.06.08 By風文 Views1228
    Read More
  19.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229
    Read More
  20.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230
    Read More
  2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1231
    Read More
  22.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234
    Read More
  23.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235
    Read More
  24.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235
    Read More
  25.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Date2023.12.30 By風文 Views12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