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6 09:55

쓰봉

조회 수 13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쓰봉

권대웅의 시 ‘쓰봉 속 십만 원’은 ‘벗어놓은 쓰봉 속주머니에 십만 원이 있다’로 시작한다. 갑자기 입원을 하게 된 노모가 집에 두고 온 당신의 전 재산을 자식들이 모르고 지나칠까 봐 일러주는 말이다.

‘쓰봉’은 바지를 뜻하는 일본말로 일제 시대에 들어와 1970년대까지 널리 쓰였다. 국어순화 운동에 힘입어 ‘와리바시(나무젓가락), 벤또(도시락), 다마네기(양파)’ 등과 함께 이제는 우리말에서 사라져버린 말이다. 중장년 세대는 대부분 알고 있는 말이지만 젊은이들에게 ‘쓰봉’은 낯선 말이다.

그런데 최근에 젊은 주부들이 ‘쓰봉’이란 말을 쓰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미 사라져버린 말이, 그것도 어렵게 쫓아낸 일본어 외래어가 다시 들어와 사용되고 있다니 놀랄 일이었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것은 바지와는 전혀 상관없는, ‘쓰레기봉투’를 줄여 이르는 새말이었다. ‘생일선물’을 ‘생선’으로 ‘생일파티’는 ‘생파’로 줄이는 등, 빠른 소통을 위해 가능하면 줄여 쓰는 젊은이들의 언어 습관이 새롭게 ‘쓰봉’을 탄생시킨 거였다.

이쯤 되니 재미난 상상이 떠올랐다. 위의 시에서 어머니가 손주들에게 ‘쓰봉 속 십만 원’ 얘기를 했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손주들은 안방에 벗어놓은 할머니 바지를 뒤지는 대신 부엌에서 쓰레기봉투를 뒤집어 보며 할머니가 두고 가신 돈을 찾고 있었을 것이다.

말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세대 간 언어 차이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또한 줄임말은 언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게 하고, 그 말을 아는 사람들끼리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줄여 쓰기를 통해 무분별하게 만들어내는 새말은 세대 간 불통을 부추길 수도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5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0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902
2138 세대주 바람의종 2008.11.23 6302
2137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3
2136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139
2135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2134 명란젓, 창란젓, 토하젓, 토화젓 바람의종 2008.11.24 11219
2133 옛부터, 옛스럽다 바람의종 2008.11.24 8769
2132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5
2131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97
2130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35
2129 띄다, 띠다 바람의종 2008.11.25 11786
2128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29
2127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96
2126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29
2125 아니오, 아니요 바람의종 2008.11.27 6227
2124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43
2123 세일, 리베이트 바람의종 2008.11.27 6812
2122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2121 두리뭉실 바람의종 2008.11.29 10471
2120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20
2119 이같이, 이 같은 바람의종 2008.11.29 8411
211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7
2117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