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6 09:55

쓰봉

조회 수 10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쓰봉

권대웅의 시 ‘쓰봉 속 십만 원’은 ‘벗어놓은 쓰봉 속주머니에 십만 원이 있다’로 시작한다. 갑자기 입원을 하게 된 노모가 집에 두고 온 당신의 전 재산을 자식들이 모르고 지나칠까 봐 일러주는 말이다.

‘쓰봉’은 바지를 뜻하는 일본말로 일제 시대에 들어와 1970년대까지 널리 쓰였다. 국어순화 운동에 힘입어 ‘와리바시(나무젓가락), 벤또(도시락), 다마네기(양파)’ 등과 함께 이제는 우리말에서 사라져버린 말이다. 중장년 세대는 대부분 알고 있는 말이지만 젊은이들에게 ‘쓰봉’은 낯선 말이다.

그런데 최근에 젊은 주부들이 ‘쓰봉’이란 말을 쓰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이미 사라져버린 말이, 그것도 어렵게 쫓아낸 일본어 외래어가 다시 들어와 사용되고 있다니 놀랄 일이었다. 그러나 찬찬히 살펴보니 그것은 바지와는 전혀 상관없는, ‘쓰레기봉투’를 줄여 이르는 새말이었다. ‘생일선물’을 ‘생선’으로 ‘생일파티’는 ‘생파’로 줄이는 등, 빠른 소통을 위해 가능하면 줄여 쓰는 젊은이들의 언어 습관이 새롭게 ‘쓰봉’을 탄생시킨 거였다.

이쯤 되니 재미난 상상이 떠올랐다. 위의 시에서 어머니가 손주들에게 ‘쓰봉 속 십만 원’ 얘기를 했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손주들은 안방에 벗어놓은 할머니 바지를 뒤지는 대신 부엌에서 쓰레기봉투를 뒤집어 보며 할머니가 두고 가신 돈을 찾고 있었을 것이다.

말은 끊임없이 변하므로 세대 간 언어 차이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또한 줄임말은 언어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게 하고, 그 말을 아는 사람들끼리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줄여 쓰기를 통해 무분별하게 만들어내는 새말은 세대 간 불통을 부추길 수도 있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7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12
136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32
13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371
134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465
133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157
132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9958
131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499
130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420
12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219
128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199
12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868
12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1984
125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140
12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272
12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899
1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11
121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678
120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04
119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786
118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721
117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395
116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274
115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3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