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그리스 신화와 영웅들)
- 사진 자료 및 참고 자료는 제가 편집해 올린 것입니다.



      제7장 아르고 호 선원

 2. 네메시스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네메시스 상]



  네메시스(Nemesis)는 그리스에서 가장 수수께기의 여신이다. 원래는 따뜻하고 인정 많은 전원의 여신으로 숭배되어, 예배자들에게 행운과 선물을 내리는 징험이 있었으나 점차로 여러 영험을 기원하게 되고 초기의 행운과 기회를 주는 기능은 의인신인 튜케(로마에서는 포르투나)에게 물려주고 주로 염원의 한을 풀어 주기 위하여 응징하는 여신으로 존경받았다. 그리스인 내면의 깊숙한 심리에 내재하는 한이 오만에 대한 보복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것이다.

  신화에서는 뉵스의 딸이고 아비는 에레보스 혹은 오케아노스라 한다. 그녀의 미모에 매료된 제우스가 포옹하려고 가까이 왔을 때는 여러 동물 형태로 모양을 바꾸어 지상과 바다로 도피하였다. 그러나 결국 거위로 변신한 네메시스에게 제우스는 백조로 변신하여 접근, 관계를 하였다. 이 장면은 좀더 수식되어, 아프로디테가 독수리로 변하여 백조를 뒤쫓는 시늉을 하므로 백조는 거위의 샅으로 피신하였다 한다. 그리고 거위가 잠들자 백조는 교합을 하고 그 결과 회임한 거위는 호숫가에 알을 낳았다. 이 알을 목동이 주워 스파르타 튠다레오스의 왕비 레다에게 바쳤고 여기에서 헬레나와 디오스쿠리(제우스의 아들들로 폴륙스와 카스토르를 말함)가 태어났다. 이 전설에서는 레다가 디오스쿠리의 양육을 맡았으며, 헬레나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많은 영웅들이 전사한 트로이 전쟁의 불씨가 되었다.

  네메시스는 인간과 신들의 분수 넘친 행동에 끊임없이 화를 내고 지나친 행운이나 성공으로 오만해지면 제동을 걸고 틀림없이 처벌을 내렸다. 현세에서는 물론 사후세계까지 위력을 발휘하였으므로 종교적으로 가장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겠다. 실제로 불의로 졸부가 된 거만한 왕이나 폭력을 일삼는 영웅은 반드시 응보천벌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분수를 넘어 지나칠 때는 세계질서를 무너뜨릴 위험이 있으므로 신에게 틀림없이 벌을 받게 된다는 그리스인의 믿음을 반영한 것이다. 예컨대 크로이소스 왕은 지나치게 부자이고 힘이 강하며 탐욕스러웠으므로, 네메시스는 페르시아의 큐로스 왕국을 원정하도록 부추겨 결과적으로 그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다.  오만, 맹목적인 어리석음 및 보복이 의인신화된 것이 휴브리스, 아테 및 네메시스 여신들이며 여기에서 휴브리스-아테-네메시스라는 원리가 정립되었다. 스토아 학파는 시간이 되면 모든 것이 원래의 구성요소로 환원되어 버리는 자연세계의 지배원칙으로 네메시스를 숭배하였다. 제우스조차 두려워한 이 네메시스 여신은 모든 신에게 생명과 죽음을 내리는 여신이라 하여 '피할 수 없는' 뜻을 가진 아드라스테이아라는 별칭을 갖고 있기도 하다.

  휴브리스는 코로스의 딸, 아테는 제우스와 에리스의 딸이라 하며 리타이도 등장시켜 아테의 터무니 없는 충동을 경감시키는 마음씨 좋은 여신으로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네메시스의 응징은 디케(정의), 포이나(형벌) 및 에리뉴에스(복수)의 3여신의 참여하에 내려졌다. 로마에서는 행운과 기회를 내리는 네메시스의 영험을 제우스의 달 튜케에 양도케 하여 튜케를 받들고 도시의 수호신으로 존경하였다. 또한 이집트의 이시스 여신과 융화시켜 이시튜케라고도 불렀다. 가장 이름난 네메시스의 성지는 아티카의 마라톤 근교 렘노스인데 조각가 페이디아스의 여신 조상이 있다. 파우사니아스에 의하면 그 입석은 페르시아가 아테네를 점거했을 때 사령관이 전승비로 하고자 파리아 섬에서 가져온 백색 대리석인데,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 군이 패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계획을 중단하고 방치한 돌이라 한다. 페르시아가 승리를 과신하고 터무니 없는 위세를 표출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고 만 것이다. 10년 전 마라톤에서 아테네 군이 승리하여 페르시아의 침범을 격퇴한 것도 네메시스의 징험이라 한다.

  네메시스 여신상은 아프로디테의 아름다운 모습에 한 손에는 사과나무 가지, 또 한 손에는 수레바퀴를 들고 있으며, 머리에는 수사슴(악타이온의 변신)이 장식된 은관을 쓰고 허리에는 응징의 채찍을 차고 있다. 수레바퀴는 계절을 돌리는 상징이었는데, 로마 시대에 와서 포르투나 여신과 관련시켜 반바퀴를 돌리면 거룩한 제왕은 번영의 극치에 달하여 생을 마치게 되며 이는 관의 사슴의 입을 통해서 전달되었다. 그러나 온 바퀴가 돌 때는 전에 쫓아낸 경쟁자에게 보복을 당한다는 징조로 보았다. 채찍은 원래 여신이 나무와 곡식을 채찍질하여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고 사과나무 가지는 제왕이 사후에 낙원으로 입국할 수 있는 여권이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926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8Aug
    by 風文
    2022/08/18 by 風文
    Views 1016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다.

  4. No Image 13Oct
    by 風文
    2022/10/13 by 風文
    Views 1016 

    노동은 네 몫 즐거움을 내 차지

  5. No Image 14Aug
    by 風文
    2019/08/14 by 風文
    Views 1014 

    가족간의 상처

  6. No Image 28Aug
    by 風文
    2019/08/28 by 風文
    Views 1014 

    산과 신

  7.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014 

    미래 교육의 핵심 가치 4C

  8. No Image 18Jan
    by 風文
    2023/01/18 by 風文
    Views 1014 

    뿌리 깊은 사랑

  9. No Image 25Jan
    by 風文
    2023/01/25 by 風文
    Views 1014 

    쉼이 가져다주는 선물

  10. No Image 10Jun
    by 風文
    2019/06/10 by 風文
    Views 1013 

    죽을 힘을 다해 쓴다

  11. No Image 17Aug
    by 風文
    2019/08/17 by 風文
    Views 1013 

    꽃향기처럼 피어나는 것

  12. No Image 26Apr
    by 風文
    2023/04/26 by 風文
    Views 1013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9. 수메르

  13. No Image 07May
    by 風文
    2020/05/07 by 風文
    Views 1012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14.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012 

    맘껏 아파하고 슬퍼하세요

  15. No Image 03Jun
    by 風文
    2020/06/03 by 風文
    Views 1011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8. 제자다움

  16. No Image 22Jun
    by 風文
    2020/06/22 by 風文
    Views 1011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2. 청순함

  17.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011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42. 근심,불안

  18. No Image 09Nov
    by 風文
    2022/11/09 by 風文
    Views 1011 

    진면목을 요청하라 - 헬리스 브릿지

  19. No Image 14Jun
    by 風文
    2023/06/14 by 風文
    Views 1011 

    '한심한 못난이'가 되지 않으려면

  20. No Image 20Sep
    by 風文
    2023/09/20 by 風文
    Views 1011 

    사람 보는 눈이 좋아서

  21. No Image 23Jun
    by 風文
    2020/06/23 by 風文
    Views 1010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3. 기도

  22. No Image 29Aug
    by 風文
    2019/08/29 by 風文
    Views 1009 

    한 걸음 물러서는 것

  23. No Image 06Dec
    by 風文
    2023/12/06 by 風文
    Views 1009 

    마음의 문이 열릴 때까지

  24. No Image 17Aug
    by 風文
    2019/08/17 by 風文
    Views 1007 

    '아침'을 경배하라

  25. No Image 14Jan
    by 風文
    2023/01/14 by 風文
    Views 1007 

    나를 넘어서는 도전 정신

  26. No Image 08Aug
    by 風文
    2019/08/08 by 風文
    Views 1004 

    혼자 있는 시간

  27. No Image 10Aug
    by 風文
    2019/08/10 by 風文
    Views 1003 

    도움을 청하라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