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18

조의금 봉투

조회 수 13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의금 봉투

사람의 일 중에서 형식과 절차가 제일 엄격히 갖춰진 것이 장례이다. 특별히 줏대 있는 집안이 아니라면, 장례식장에서 시키는 대로 빈소를 꾸미고 염습과 입관, 발인, 운구, 화장, 봉안 절차를 밟으면 된다. 문상객이 할 일도 일정하다. 단정한 옷을 입고 빈소에 국화를 올려놓거나 향을 피워 절이나 기도를 하고 상주들과 인사하고 조의금을 내고 식사한다(술잔을 부딪치면 안 된다는 확고한 금칙과 함께). 유일한(!) 고민거리는 조의금으로 5만원을 할 건가, 10만원을 할 건가 정도?

장례식장마다 봉투에 ‘부의’(賻儀)나 ‘조의’(弔儀)라고 인쇄되어 있으니, 예전처럼 봉투에 더듬거리며 한자를 쓰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이상한 일이지만, 예전에도 한글로 ‘부의’라고 쓰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나는 급하게 가지 않는 한, 봉투를 따로 준비한다. 장례식장 이름까지 박혀 있는 봉투가 어쩐지 상업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빈 봉투에 ‘슬픔을 함께합니다’라는 식의 어쭙잖은 문구를 적는다. 글자를 쓰는 짧은 시간 동안이나마 다른 시간을 경험하는 일이겠거니 하면서(물론 별 소용 없는 일이다. 봉투의 쓸모는 ‘누가’와 ‘얼마’를 표시하는 데 있으니).

글 쓰다 죽은 어느 망자 빈소에 즐비하게 늘어선 조화 사이로 이런 문구의 조기를 본다. “우리 슬픔이 모였습니다. 보라, 우리는 우리의 도타운 글이 있나니.” 알 수 없는 생사의 갈림길에 올려놓은 힘없는 말이 발걸음을 잠시 멈추게 한다.

우리는 늘 언어 뒤를 따른다. 앞이나 옆이 아니라, 항상 뒤에 있다. 언어가 가자는 길로만 따라가고 있다는 자각이야말로 언어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기회다. 비록 새로운 말을 시도하자마자 그 또한 상투화의 길로 가지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98
3304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571
3303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675
330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402
3301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733
3300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2039
3299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697
3298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591
3297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697
3296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440
3295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776
3294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37
3293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601
3292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19
3291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397
3290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679
328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87
3288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480
3287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472
328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44
3285 안녕히, ‘~고 말했다’ 風文 2022.10.11 1250
3284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338
3283 언어공동체, 피장파장 風文 2022.10.09 11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