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5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69
3238 하느님, 하나님 바람의종 2010.03.22 9848
3237 하노라고, 하느라고 바람의종 2010.04.13 10992
3236 하냥 file 바람의종 2010.03.23 12636
3235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639
323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544
3233 필요한 사람?/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85
3232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9053
3231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699
3230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10044
3229 피로연 바람의종 2010.07.09 13251
322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329
3227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8.08.27 5804
3226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578
322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399
3224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695
3223 피동문의 범람 바람의종 2010.07.13 9854
3222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10004
3221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389
3220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8082
321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2102
32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6017
3217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