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마르고 닳도록 입고 다니던 청바지가 버스에 앉는데 찍 하고 찢어졌다. 천을 덧대어 오버로크해서 버텼으나, 오래 못 가 뒷무릎까지 찢어졌다. 아깝더라도 버릴 수밖에.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김수영)지만, 언젠가는 버려야 할 때가 온다. 한글 자음 이름도 그렇다. 한글 창제 후 백년쯤 지나 최세진은 어린이용 한자학습서 ‘훈몽자회’를 쓴다. ‘天’이란 한자에 ‘하늘 천’이라고 적어두면 자습하기 편하겠다 싶었다. 명민한 최세진은 이름만 배워도 그것이 첫소리와 끝소리에서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 알 수 있게 만들었다. ‘리을, 비읍’처럼 ‘이으’의 앞뒤에 ㄹ, ㅂ을 붙이면 첫소리와 끝소리를 연습할 수 있겠다. 그래서 ‘ㄹ’ 이름을 梨乙(리을), ‘ㅂ’ 이름을 非邑(비읍)이라고 지었다. 기발하고 참신하다.

그런데 처음부터 문제였다. ‘ㄱ’도 기윽이라 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윽’이라는 한자가 없다. 하는 수 없이 발음이 비슷한 役(역)을 써서 其役(기역)이라 했다.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인 게 ㄱ, ㄷ, ㅅ 3개다. ‘ㄷ’도 디읃으로 하고 싶지만, ‘읃’이란 한자가 있을 리 없지. 末(말)이란 한자에 동그라미를 치고 이건 뜻으로 읽으라고 해 놓았다. 옛 발음으로 ‘귿 말’이니, ‘디귿’ 되겠다. ‘ㅅ’도 時衣(시의)라 쓰고, 衣(의)에 동그라미를 쳤다. ‘옷 의’이니 시옷.

궁여지책이었다. 왜 ‘기역, 디귿, 시옷’인지 설명해 주는 선생도 드물었다. 외국인에게 가르칠 때도 이름은 슬쩍 넘어간다(그거 알려주다간 날 샌다). 남북이 함께 만드는 ‘겨레말큰사전’에는 ‘기윽, 디읃, 시읏’으로 통일했다. 어린이나 외국인에게 가르치기도 편하다. 바꿀 땐 바꿔야 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5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068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52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473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809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652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377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15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618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145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75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461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893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25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711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48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155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588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519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725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677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614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781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