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1 19:23

피동형을 즐기라

조회 수 12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피동형을 즐기라

연구위원·경희대 교수‘원고가 마무리되셨는지요?’

오늘도 어떤 분에게 원고를 독촉하면서 피동형 문장을 썼다. ‘마무리하셨나요?’라 하면 지나치게 채근하는 듯하여 목소리를 누그러뜨렸다. 나도 매번 독촉 문자를 받는데 열이면 열 ‘언제쯤 원고가 완성될까요?’ 식이다. ‘원고 완성했어요?’라 하면 속이 상할 듯. 비겁한 피동 풍년일세.

한국어 문장에 대한 가장 강력하면서도 근거 없는 신화가 ‘피동형을 피하라’라는 것. 글 쓰는 사람이라면 이런 얘기를 한번쯤 들었을 것이다. ‘능동형 문장이 좋은 문장이다’, ‘피동형은 우리말을 오염시킨다’, ‘우리말은 피동형보다 능동형 문장이 자연스럽다’, ‘피동형은 영어식 또는 일본어식 표현의 영향이다’.

‘능동형이 자연스럽다’는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철수가 유리창을 깼다’처럼 행위 주체가 주어 자리에 오는 게 자연스럽다. 그런 점에서 능동형이 자연스럽다는 말은 맞다. 하지만 한국어만 그런 게 아니라는 점에서 틀렸다. 모든 언어가 능동형이 피동형보다 자연스럽다.

문제는 말글살이라는 게 복잡하고 섬세한 사람살이의 영향권 아래에 있다는 점이다. 행위 주체를 명확히 밝히는 일이 무례해 보일 수도 있고 괜한 낭패를 당할 수도 있다. 행위 주체를 모를 경우도 있다. 독자에게 익숙한 정보가 주체보다는 대상인 경우도 있고, 당하는 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싶을 때도 있다. ‘해양생태계가 파괴되었다’고 하는 게 ‘일본 정부가 해양생태계를 파괴했다’보다 더 슬플 수 있다.

그렇다고 기자들이 진실을 감추기 위해 피동형을 쓰는 것까지 감싸고 싶지는 않다. 행위의 주체와 책임을 똑똑히 밝혀야 할 땐 결기 있게 능동형을 써야 한다. 한국어는 능동형도 피동형도 자연스럽다. 피동형을 즐기라.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5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352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1221 

    옹알이

  5. No Image 11Feb
    by 風文
    2022/02/11 by 風文
    Views 1229 

    역사와 욕망

  6. No Image 01Feb
    by 風文
    2023/02/01 by 風文
    Views 1230 

    말의 세대 차

  7. No Image 12May
    by 風文
    2022/05/12 by 風文
    Views 1231 

    영어의 힘

  8. No Image 26May
    by 風文
    2022/05/26 by 風文
    Views 123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9. No Image 25Jul
    by 風文
    2022/07/25 by 風文
    Views 1232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10. No Image 05Dec
    by 風文
    2023/12/05 by 風文
    Views 1235 

    상석

  11. No Image 23Aug
    by 風文
    2022/08/23 by 風文
    Views 1239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12.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241 

    마그나 카르타

  13. No Image 06Jul
    by 風文
    2022/07/06 by 風文
    Views 1241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14. No Image 24Feb
    by 風文
    2022/02/24 by 風文
    Views 1242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15. No Image 27Apr
    by 風文
    2022/04/27 by 風文
    Views 124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16. No Image 09May
    by 風文
    2022/05/09 by 風文
    Views 1244 

    인종 구분

  17. No Image 21Dec
    by 風文
    2023/12/21 by 風文
    Views 1245 

    장녀, 외딸, 고명딸

  18. No Image 18Dec
    by 風文
    2023/12/18 by 風文
    Views 1248 

    가짜와 인공

  19.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249 

    더(the) 한국말

  20. No Image 19Jun
    by 風文
    2022/06/19 by 風文
    Views 1249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21. No Image 02Jan
    by 風文
    2024/01/02 by 風文
    Views 1250 

    아주버님, 처남댁

  22. No Image 16Sep
    by 風文
    2022/09/16 by 風文
    Views 1251 

    그림과 말, 어이, 택배!

  23. No Image 07Sep
    by 風文
    2022/09/07 by 風文
    Views 1252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24. No Image 30Jun
    by 風文
    2023/06/30 by 風文
    Views 1252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25. No Image 29Aug
    by 風文
    2022/08/29 by 風文
    Views 1255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