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6.19 06:11

수능 국어영역

조회 수 14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능 국어영역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대통령이 부럽다. 말도 못하게 부럽다. ‘말은 말 자체가 아니라 말하는 사람이 보유한 권력의 무게만큼 힘을 발휘한다’는 것을 이리도 밝고 명쾌하게 보여주다니. 보스의 힘을 확인하는 방법은 깨알처럼 작디작은 문제를 걸고넘어지는 것. ‘수능 문제를 쉽게 내라’는 교지를 따르지 않은 담당 국장을 경질하고 교육과정평가원도 감사를 한다니 ‘교육개혁의 의지’에 추호의 흔들림도 없다.

학생에겐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일타강사처럼 말하자면, 올해 수능 국어영역은 무조건 교과서 내에서 난다. 교과서만 보라. 식은 죽 먹기다. 다만, 볼 책이 좀 많다. 국어 교과서가 12종이고, 문학이 10종, 독서가 6종, 화법과 작문이 5종, 언어와 매체가 5종이다. 게다가 그동안 교과서 위의 교과서 노릇을 해온 <교육방송> 수능 연계 교재 4권이 더 있다(진작 국어 교과서를 국정화했어야 했다!!).

교과서가 많으니 교사는 글을 이해하는 방법을 알려줄 뿐이다. ‘다음 중 청록파 시인의 작품이 아닌 것은?’ 식의 사전 지식을 묻는 문제는 사라졌다. 분석, 추론, 비판, 적용 등 생각하는 능력을 묻는다.

최고 명문 서울대 법대에 들어갈 실력의 보유자임에도 ‘학교 다닐 때 국어가 재미없었다’는 서민적 풍모와 겸양의 미덕을 갖춘 대통령께선 오래전부터 교육개혁의 깃발을 외롭게 들고 계신다. 이참에 “입시는 언제까지 객관식이어야만 하는가?” “고등교육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야 하지 않는가?” “지역의 대학을 서울대 수준으로 키울 방법은 없는가?” 같은 주제로 하명을 내리시면 하늘이 놀라고 땅이 흔들리는 변화가 올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69
2006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2005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56
2004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8167
2003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89
200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67
200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422
2000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86
1999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89
199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585
1997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510
1996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01
19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3
1994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115
199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33
1992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64
1991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199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83
1989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55
1988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51
1987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962
1986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611
1985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