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용하다 보면 자주 틀리거나 헷갈리는 맞춤법이 많습니다.

특히 한 글자의 모음 차이로 다른 의미를 갖게 될 때는 더욱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오늘은 어미로 활용되는 ‘-데’, 와‘-대’의 사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데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데’는 ‘-더라’와 쓰임이 비슷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상황 1]

- 그이가 말을 아주 잘하(데/대).

- 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

-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


-대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대’는 ‘-다고 해’의 줄임말로도 사용합니다.

‘-대’에는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는 의미를 잘 외워 두면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황 2]

- 입춘이 지났는데 왜 이렇게 춥(데/대)?

- 왜 이렇게 일이 많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6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45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4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27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42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7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17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43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38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99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77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84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36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22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12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69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50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1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09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7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16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19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46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