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인공지능이 인간 언어에 육박할 수 있게 된 건 인간이 말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를 눈치챘기 때문이다. 패턴의 발견. 패턴은 반복적 사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일정한 양식이자 경향. 어떤 상황을 말로 표현한다고 해 보자. 딱 맞는 하나의 표현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한대로 열려 있는 것도 아니다. ‘밥’으로 시작하는 문장을 떠올려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문장은 패턴의 조합이다. 패턴은 유일과 무한대 사이에 난 오솔길.

자기 팔꿈치는 물지 못한다 했던가. 인간은 그 패턴이 무엇인지 소상히 알 수 없다. 말은 술술 하지만 그걸 보여 달라고 하면 난처해진다. 인공지능은 그걸 빠르게 발견한다. 이 단어 다음에 어떤 단어가 올지, 이 문서가 뭘 다루고 있는지를 안다.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처럼 그럴싸하게 말을 하게 되었다.

말을 뿜어내도록 만들어진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는 다변증과 허언증을 동시에 앓고 산다. 말 많은 거짓말쟁이. 끝없이 지껄이고, 수시로 거짓말을 한다. 대꾸하지 말래도 기어코 대답을 한다. 그래도 끊임없이 쏘삭이는 인공지능을 다들 기특하고 대견해 한다. 아이야, 너는 어찌 그리 말을 잘하니?

인공지능이 유일하게 못 하는 것은 침묵. 이제 인간에게 남은 거라곤 패턴을 거역할 자유와 입을 닫을 자유 정도밖에 없는가. 인간만이 기성화되고 제도화된 패턴을 벗어나는 시도를 감행한다. 인간만이 할 말을 참고 침묵할 수 있다. 상황과 상대를 살피며 망설이고 뜸을 들일 수도 있다. 나처럼 입만 살아 있는 자는 성능 나쁜 인공지능에 가깝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5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0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53
3370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645
3369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296
3368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396
3367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782
3366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708
3365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602
3364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6718
3363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171
3362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02
3361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785
3360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464
3359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368
3358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084
3357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027
3356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203
3355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7.12.29 7084
3354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597
3353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756
3352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175
3351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633
3350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159
3349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4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