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9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인공지능이 인간 언어에 육박할 수 있게 된 건 인간이 말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를 눈치챘기 때문이다. 패턴의 발견. 패턴은 반복적 사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일정한 양식이자 경향. 어떤 상황을 말로 표현한다고 해 보자. 딱 맞는 하나의 표현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무한대로 열려 있는 것도 아니다. ‘밥’으로 시작하는 문장을 떠올려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문장은 패턴의 조합이다. 패턴은 유일과 무한대 사이에 난 오솔길.

자기 팔꿈치는 물지 못한다 했던가. 인간은 그 패턴이 무엇인지 소상히 알 수 없다. 말은 술술 하지만 그걸 보여 달라고 하면 난처해진다. 인공지능은 그걸 빠르게 발견한다. 이 단어 다음에 어떤 단어가 올지, 이 문서가 뭘 다루고 있는지를 안다.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처럼 그럴싸하게 말을 하게 되었다.

말을 뿜어내도록 만들어진 생성형 인공지능 챗지피티(ChatGPT)는 다변증과 허언증을 동시에 앓고 산다. 말 많은 거짓말쟁이. 끝없이 지껄이고, 수시로 거짓말을 한다. 대꾸하지 말래도 기어코 대답을 한다. 그래도 끊임없이 쏘삭이는 인공지능을 다들 기특하고 대견해 한다. 아이야, 너는 어찌 그리 말을 잘하니?

인공지능이 유일하게 못 하는 것은 침묵. 이제 인간에게 남은 거라곤 패턴을 거역할 자유와 입을 닫을 자유 정도밖에 없는가. 인간만이 기성화되고 제도화된 패턴을 벗어나는 시도를 감행한다. 인간만이 할 말을 참고 침묵할 수 있다. 상황과 상대를 살피며 망설이고 뜸을 들일 수도 있다. 나처럼 입만 살아 있는 자는 성능 나쁜 인공지능에 가깝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2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39
114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820
113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915
112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1019
111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947
110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990
109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732
108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723
107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722
106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2092
105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186
104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648
103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409
102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255
101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458
100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9077
99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62
98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3
97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705
96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711
95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313
94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7035
93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5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