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6.09 05:56

망신

조회 수 19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망신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마음은 몸과 이어져 있다. 볼 수도 없고 보여줄 수도 없건만, 몸이 티를 내니 숨길 수가 없다. 기쁘면 입꼬리를 올리고, 슬프면 입술을 씰룩거린다. 실망하면 어깨가 처지고, 부끄러우면 얼굴이 화끈거린다. 분하면 어금니를 깨물고 긴장하면 몸이 굳는다. 두려우면 닭살이 돋는다. 몸은 마음이 하는 말이다.

‘망신’(亡身). 몸을 망가뜨리거나 몸이 망가졌다는 뜻이었으려나. 고행처럼 몸을 고통 속으로 밀어 넣어 육신의 욕망을 뛰어넘고 참자유에 이르겠다는 의지였으려나. 서면 앉고 싶고, 앉으면 눕고 싶고, 누우면 자고 싶은 게 사람 마음인데, 몸을 잊음으로써 인간의 존재 이유를 묻는 것이겠지. 오체투지, 단식, 묵언, 피정, 금욕도 망신(고행)의 일종이다.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을 궁리하는 일이라면 여행이나 산책마저도 망신이려나? ‘몸을 잊고 던지는’ 망신은 쉽지가 않다.

그래서 그런가. 몸은 안 던지고, 세 치 혀만 잘못 놀려 스스로 무덤을 판다. 아는 척, 잘난 척, 있는 척 헛소리를 하고 허세를 부리다가 들통이 난다. 자초한 일이니 누구를 탓하랴. 망신은 망심(亡心). 얼굴을 들 수 없고 낯이 깎인다(대패에 얼굴이 깎여나가는 아픔이라니). 망신도 크기가 있는지, ‘개망신’을 당하면 며칠은 집 밖에 나갈 수 없고, ‘패가망신’을 당하면 전 재산을 잃고 몰락한다. 홀로 감당하지 않고 ‘집안 망신’이나 ‘나라 망신’을 시켜 민폐를 끼치기도 한다.

인간은 실수하는 동물이다. 크고 작은 망신을 피할 수 없다. 다만, 망신살이 뻗쳤는데도 낯을 들고 다니는 사람이 늘고 있는 건 분명하다.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9748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6247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1143
    read more
  4.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Date2023.01.09 By風文 Views1722
    Read More
  5. 할 말과 못할 말

    Date2022.01.07 By風文 Views1724
    Read More
  6.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Date2022.08.21 By風文 Views1724
    Read More
  7. 독불장군, 만인의 ‘씨’

    Date2022.11.10 By風文 Views1731
    Read More
  8. 참고와 참조

    Date2023.07.09 By風文 Views1733
    Read More
  9. 열쇳말, 다섯 살까지

    Date2022.11.22 By風文 Views1734
    Read More
  10. -분, 카울

    Date2020.05.14 By風文 Views1738
    Read More
  11. 되갚음 / 윤석열

    Date2020.05.19 By風文 Views1738
    Read More
  12. 美國 - 米國 / 3M

    Date2020.06.08 By風文 Views1739
    Read More
  13. 후텁지근한

    Date2023.11.15 By風文 Views1740
    Read More
  14. 공화 정신

    Date2022.01.11 By風文 Views1745
    Read More
  15. 한자를 몰라도

    Date2022.01.09 By風文 Views1752
    Read More
  16. 우리나라

    Date2023.06.21 By風文 Views1759
    Read More
  17. 존맛

    Date2023.06.28 By風文 Views1764
    Read More
  18. 이 자리를 빌려

    Date2023.06.06 By風文 Views1770
    Read More
  19.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Date2020.06.17 By風文 Views1774
    Read More
  20. 내 청춘에게?

    Date2024.02.17 By風文 Views1775
    Read More
  21.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Date2023.10.13 By風文 Views1776
    Read More
  22.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Date2022.11.28 By風文 Views1777
    Read More
  23.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Date2022.06.30 By風文 Views1779
    Read More
  2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Date2022.09.15 By風文 Views1805
    Read More
  25. ‘괴담’ 되돌려주기

    Date2023.11.01 By風文 Views180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