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6.06 13:57

이 자리를 빌려

조회 수 18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 자리를 빌려

‘이 자리를 00 감사를 드립니다’라고 할 때 ‘빌어’가 맞나요? ‘빌려’가 맞나요? 엊그제 어느 직장인으로부터 문의 전화를 받았다. ‘빌려’로 쓰는 게 맞다고 답했더니 “저도 그런 줄 알고 있는데, 사장님이 자꾸 ‘빌어’로 써야 한다고 하시네요”라는 답이 돌아왔다. 어떤 사정일지 짐작이 간다. 아마도 사장님은 적어도 50세는 넘으신, 연세가 지긋한 분이실 게다. 1988년에 표준어 규정의 개정으로 이 표현은 ‘빌어’에서 ‘빌려’로 바뀌었다.

‘빌리다’는 남의 돈이나 물건을 나중에 돌려주기로 하고 얼마 동안 가져다 쓰는 일을 뜻한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빌려오기도 하고 남에게 빌려줄 수도 있다. 1988년 이전에는 빌려오는 것은 ‘빌다’로, 빌려주는 것은 ‘빌리다’로 구분해서 쓰도록 하였다. 즉 ‘친구가 나에게 책을 빌렸다’는 친구가 내 책을 빌려갔다는 뜻이고, 내가 빌렸을 때는 ‘친구에게 책을 빌었다’ 또는 ‘빌어왔다’라고 표현해야 했다. 그러나 차차 이 둘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빌려가다, 빌려오다, 빌려주다’로 구분해서 사용함에 따라 ‘빌다’와 ‘빌리다’의 구분을 없애고 모두 ‘빌리다’로 쓰도록 했다. 그러니까 ‘이 자리를 빌려 감사를 드립니다’로 쓰면 된다.

다만 ‘빌려오다’의 의미로 ‘빌다’를 더 이상 쓰지 않는 사람들 중에도 ‘이 자리를 빌어 감사를 드립니다’라는 말은 굳어진 표현으로 강하게 인식하고 있어 ‘빌어’가 맞는 것으로 종종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다. ‘빌다’는 ‘빌어먹다’에서처럼 ‘구걸하다’의 의미나 ‘소원이나 용서를 빌다’처럼 간곡히 청하는 행위를 나타낼 때에만 사용한다. 앞으로는 이 말을 혼동하는 사람들이 없기를 이 자리를 ‘빌려’ 간곡히 부탁드린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0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41
3150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694
3149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561
3148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865
3147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751
3146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461
314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04
3144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676
314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273
3142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252
3141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507
3140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957
3139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66
313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842
3137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7190
3136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288
3135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638
3134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565
3133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805
3132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714
3131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666
3130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01
312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