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9 05:43

예민한 ‘분’

조회 수 126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민한 ‘분’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믿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갑절은 예의 바르다. 몸에는 온통 보수적이고 체제 순응적인 습이 배어 있어 예의범절에 어긋난 언행은 어지간해서는 하지 않는다.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들지 않으면 결단코 음식을 먼저 먹지 않는다.

이 ‘예의범절’이란 녀석은 또렷하기보다는 막걸리처럼 뿌옇고 흐릿하다. 법보다는 관행에 가깝고 경험에서 비롯된 게 많아 사람마다 기준도 들쑥날쑥하다. 감각에 가까운지라,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몸과 마음이 곧바로 익숙한 쪽으로 쏠린다. 말보다 몸이 먼저 반응한다. 그런데 가끔 무엇이 예의 있는 언행일지 멈칫하는 순간이 있다. 이를테면 이런 장면이다.

어른 두분을 모시고 식당에 갔다고 치자. 식당 직원이 “몇분이세요?”라 묻는다면 당신은 뭐라 답을 하는가? 나는 이때 참 난처하더라. “세분요”라고 하면 나도 높여 말하는 거라 민망하고, “세명요”라거나 “세 사람요”라고 하면 어른 두분을 싸잡아 낮추는 것 같아 머뭇거려진다. 그렇다고 “두분과 한명요”라고 하면, 말도 구차해 보이고 바쁜 직원에게 복에 없던 덧셈을 하게 만드는 일이 된다. 그래서 속으로 ‘역시 난 비겁한 길만 택하는군’ 하면서 “셋이요!”라고 한다.(모래야,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쪼잔하냐?)

인간은 당연한 듯이 이 세계를 나와 남, 자신과 타인으로 분별한다. 게다가 한국어는 상대를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겸양의 질서를 촘촘히 갖추고 있다. 높여야 할 상대와 낮춰야 할 자신이 한 덩어리 말에 뭉쳐 들어갈 때 허점을 보인다. 반갑다, 무질서한 질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0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56
114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223
113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222
112 상석 風文 2023.12.05 1221
111 옹알이 風文 2021.09.03 1219
110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218
109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216
108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213
107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212
106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09
105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206
104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205
103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204
102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202
101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199
100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197
99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97
98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196
97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94
96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192
95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192
94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189
9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