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7 14:50

도긴개긴

조회 수 15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긴개긴

여자 친구의 짜증과 국민연금의 공통점은? ‘개그콘서트’ 에 따르면 왜 내는지 모르겠다는 점에서 ‘도찐개찐’ ‘오십보백보’란다. 인기 개그 프로그램 덕에 ‘도찐개찐’은 모르는 사람이 없는 유행어가 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이 말의 원말인 ‘도긴개긴’이 새 표제어로 수록되게 되었다.

‘도긴개긴’은 윷놀이에서 상대편의 말을 ‘도’로 잡을 수 있는 거리나 ‘개’로 잡을 수 있는 거리가 별반 차이가 없다는 데서 유래한다. 조그마한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엇비슷한 일을 빗대어 이를 때 쓴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앞 말을 잡게 됐을 때 ‘긴이 닿았다’라고도 하고, ‘걸 긴’이니 ‘윷 긴’이니 하는 말로 앞선 말과의 거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윷놀이를 즐겨 하지 않게 되면서 이런 말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도긴개긴’만 남아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백수오나 이엽우피소나 도긴개긴’ ‘생수 가격이나 석유 가격이나 도긴개긴이다’처럼 쓰인다.

'도찐개찐’은 ‘도긴개긴’의 방언형으로 보인다. ‘긴’이 ‘진’이 되는 것은 ‘길’을 ‘질’로 발음하거나 ‘기름’을 ‘지름’으로 발음하는 등 우리말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것을 입말로만 접한 사람이 ‘도찐개찐’으로 방송에서 쓰게 되면서 갑자기 온 국민들에게 익숙해지게 된 것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말을 예전에는 ‘도 긴 개 긴’이라는 각각의 명사들의 결합으로 보아 따로 표제어로 수록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최근 이 말이 널리 쓰임에 따라 하나의 명사로 굳어졌다고 판단하여 표제어로 수록하고 붙여 쓰도록 한 것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988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637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1251
    read more
  4. ‘파바’와 ‘롯리’

    Date2023.06.16 By風文 Views1638
    Read More
  5. 성인의 세계

    Date2022.05.10 By風文 Views1641
    Read More
  6. 노랗다와 달다, 없다

    Date2022.07.29 By風文 Views1641
    Read More
  7. 위탁모, 땅거미

    Date2020.05.07 By風文 Views1642
    Read More
  8. 콩글리시

    Date2022.05.18 By風文 Views1643
    Read More
  9.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Date2022.08.03 By風文 Views1644
    Read More
  10.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652
    Read More
  11. 지긋이/지그시

    Date2023.09.02 By風文 Views1652
    Read More
  1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Date2022.09.03 By風文 Views1657
    Read More
  13. 북한의 ‘한글날’

    Date2024.01.06 By風文 Views1662
    Read More
  14.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Date2022.09.09 By風文 Views1663
    Read More
  15.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Date2023.10.18 By風文 Views1664
    Read More
  16. 어쩌다 보니

    Date2023.04.14 By風文 Views1666
    Read More
  17. 인기척, 허하다

    Date2022.08.17 By風文 Views1669
    Read More
  18. 국가의 목소리

    Date2023.02.06 By風文 Views1669
    Read More
  19. 풀어쓰기, 오촌 아재

    Date2022.10.08 By風文 Views1671
    Read More
  20. ‘시끄러워!’, 직연

    Date2022.10.25 By風文 Views1673
    Read More
  21. 한소끔과 한 움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675
    Read More
  22.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Date2022.10.12 By風文 Views1677
    Read More
  23. 지도자의 화법

    Date2022.01.15 By風文 Views1678
    Read More
  24.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Date2022.12.06 By風文 Views1679
    Read More
  25. 개양귀비

    Date2023.04.25 By風文 Views168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