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7 14:50

도긴개긴

조회 수 14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긴개긴

여자 친구의 짜증과 국민연금의 공통점은? ‘개그콘서트’ 에 따르면 왜 내는지 모르겠다는 점에서 ‘도찐개찐’ ‘오십보백보’란다. 인기 개그 프로그램 덕에 ‘도찐개찐’은 모르는 사람이 없는 유행어가 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이 말의 원말인 ‘도긴개긴’이 새 표제어로 수록되게 되었다.

‘도긴개긴’은 윷놀이에서 상대편의 말을 ‘도’로 잡을 수 있는 거리나 ‘개’로 잡을 수 있는 거리가 별반 차이가 없다는 데서 유래한다. 조그마한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엇비슷한 일을 빗대어 이를 때 쓴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앞 말을 잡게 됐을 때 ‘긴이 닿았다’라고도 하고, ‘걸 긴’이니 ‘윷 긴’이니 하는 말로 앞선 말과의 거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윷놀이를 즐겨 하지 않게 되면서 이런 말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도긴개긴’만 남아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백수오나 이엽우피소나 도긴개긴’ ‘생수 가격이나 석유 가격이나 도긴개긴이다’처럼 쓰인다.

'도찐개찐’은 ‘도긴개긴’의 방언형으로 보인다. ‘긴’이 ‘진’이 되는 것은 ‘길’을 ‘질’로 발음하거나 ‘기름’을 ‘지름’으로 발음하는 등 우리말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것을 입말로만 접한 사람이 ‘도찐개찐’으로 방송에서 쓰게 되면서 갑자기 온 국민들에게 익숙해지게 된 것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말을 예전에는 ‘도 긴 개 긴’이라는 각각의 명사들의 결합으로 보아 따로 표제어로 수록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최근 이 말이 널리 쓰임에 따라 하나의 명사로 굳어졌다고 판단하여 표제어로 수록하고 붙여 쓰도록 한 것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241
3348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95
3347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511
3346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090
3345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20
334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92
3343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944
3342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220
3341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83
3340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611
3339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82
3338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602
3337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76
3336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56
3335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81
3334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21
3333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557
3332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052
3331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2021
3330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580
3329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578
3328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648
3327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9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