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7 14:50

도긴개긴

조회 수 15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긴개긴

여자 친구의 짜증과 국민연금의 공통점은? ‘개그콘서트’ 에 따르면 왜 내는지 모르겠다는 점에서 ‘도찐개찐’ ‘오십보백보’란다. 인기 개그 프로그램 덕에 ‘도찐개찐’은 모르는 사람이 없는 유행어가 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이 말의 원말인 ‘도긴개긴’이 새 표제어로 수록되게 되었다.

‘도긴개긴’은 윷놀이에서 상대편의 말을 ‘도’로 잡을 수 있는 거리나 ‘개’로 잡을 수 있는 거리가 별반 차이가 없다는 데서 유래한다. 조그마한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엇비슷한 일을 빗대어 이를 때 쓴다. 여기서 ‘긴’은 윷놀이에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앞 말을 잡게 됐을 때 ‘긴이 닿았다’라고도 하고, ‘걸 긴’이니 ‘윷 긴’이니 하는 말로 앞선 말과의 거리를 표현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윷놀이를 즐겨 하지 않게 되면서 이런 말들이 점점 잊혀져 가고 ‘도긴개긴’만 남아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백수오나 이엽우피소나 도긴개긴’ ‘생수 가격이나 석유 가격이나 도긴개긴이다’처럼 쓰인다.

'도찐개찐’은 ‘도긴개긴’의 방언형으로 보인다. ‘긴’이 ‘진’이 되는 것은 ‘길’을 ‘질’로 발음하거나 ‘기름’을 ‘지름’으로 발음하는 등 우리말 방언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것을 입말로만 접한 사람이 ‘도찐개찐’으로 방송에서 쓰게 되면서 갑자기 온 국민들에게 익숙해지게 된 것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말을 예전에는 ‘도 긴 개 긴’이라는 각각의 명사들의 결합으로 보아 따로 표제어로 수록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최근 이 말이 널리 쓰임에 따라 하나의 명사로 굳어졌다고 판단하여 표제어로 수록하고 붙여 쓰도록 한 것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796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51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8May
    by 風文
    2022/05/18 by 風文
    Views 1595 

    콩글리시

  5. No Image 08Oct
    by 風文
    2022/10/08 by 風文
    Views 1597 

    풀어쓰기, 오촌 아재

  6. No Image 06Jan
    by 風文
    2024/01/06 by 風文
    Views 1597 

    북한의 ‘한글날’

  7.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601 

    웰다잉 -> 품위사

  8. No Image 06Dec
    by 風文
    2022/12/06 by 風文
    Views 1602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9.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602 

    지긋이/지그시

  10. No Image 24Sep
    by 風文
    2022/09/24 by 風文
    Views 1605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11.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607 

    성인의 세계

  12. No Image 25Oct
    by 風文
    2022/10/25 by 風文
    Views 1607 

    ‘시끄러워!’, 직연

  13.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614 

    한소끔과 한 움큼

  14. No Image 18May
    by 風文
    2022/05/18 by 風文
    Views 1619 

    혼성어

  15.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62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6. No Image 18Oct
    by 風文
    2023/10/18 by 風文
    Views 162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17. No Image 02Jun
    by 風文
    2020/06/02 by 風文
    Views 1624 

    기림비 2 / 오른쪽

  18. No Image 07May
    by 風文
    2020/05/07 by 風文
    Views 1625 

    위탁모, 땅거미

  19. No Image 29Jul
    by 風文
    2022/07/29 by 風文
    Views 1625 

    노랗다와 달다, 없다

  20. No Image 14Apr
    by 風文
    2023/04/14 by 風文
    Views 1629 

    어쩌다 보니

  21. No Image 06Feb
    by 風文
    2023/02/06 by 風文
    Views 1630 

    국가의 목소리

  22. No Image 28May
    by 風文
    2023/05/28 by 風文
    Views 1631 

    아이 위시 아파트

  23. No Image 25Apr
    by 風文
    2023/04/25 by 風文
    Views 1636 

    개양귀비

  24. No Image 04Jan
    by 風文
    2024/01/04 by 風文
    Views 1638 

    ‘폭팔’과 ‘망말’

  25. No Image 24Jun
    by 風文
    2022/06/24 by 風文
    Views 1639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