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5.22 06:13

단골

조회 수 16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단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결혼할 사람이 있었다. 다섯살 무렵. 아버지와 옆 마을 아저씨는 자식들이 크면 결혼시키자는 약조를 맺었다. 풉, 가난뱅이들의 정략결혼이라니. 이듬해 겨울, 어머니는 그 아이가 많이 아파 단골무당을 불러 굿을 한다고 하니 같이 가자고 했다. 단칸방 귀퉁이에 앉아 두려운 눈으로 무당의 푸닥거리를 보았다. 며칠 후 그 아이는 죽었다.

애초에 ‘단골’이란 말은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자주 부르는 ‘무당’을 뜻했다. 지금은 자주 가는 가게라는 뜻으로 일반화되었다. 손님도 주인을 보고 단골이라 하고, 주인도 손님한테 단골이라 한다. 서로가 서로를 단골이라 부르니 재미있다. 어디서든 ‘갑을’을 따지는 사회에서 이런 말이 또 있을까.

‘단골’은 사랑과 닮았다. 그냥, 좋다. 왜냐고 물으면 달리 답을 찾을 수 없을 때, 그게 단골이다. 더 맛있는 집이 널려 있건만, ‘왠지 모르게’ 그 집이 편하고 맛있고 먼저 떠오르고 다시 가고(보고) 싶어진다.

횟수는 안 중요하다. 뜨문뜨문 가도 애틋하다. 규격화된 맛과 정해진 응대 절차를 따르는 체인점이 단골이 되기는 쉽지 않다. ‘맛집’이나 ‘핫 플레이스’와도 다르다. 그 장소에 내가 포함되어 있다는 느낌, 그 공간의 역사에 나도 동참하고 있다는 자부심이 단골의 심리적 조건이다.

울적하게 앉아 맥주 몇병을 세워두고 있는 나에게 단골집 주인이 “오늘은 비참하게 앉아 있네”라 한다. “그렇게 보여요?” 하며 같이 웃는다. 얼굴이 불콰하도록 먹고 나서려는데, 그냥 가라며 등을 떠민다. 내 삶은 단조롭긴 하지만, 행복하다. 무도한 시대를 버티는 아지트, 단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46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29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9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50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37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34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62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56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237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94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806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43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25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941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81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72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86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114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85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32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39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79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