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8 06:20

돼지껍데기

조회 수 13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돼지껍데기

콜라겐이 많아서 피부에 좋다는 소문이 나서인지 여자 연예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돼지껍질이 자주 꼽힌다. 마오쩌둥도 즐겨 먹었다는 돼지껍질. 고소하고 쫀득한 맛이 일품이다. 그런데 ‘돼지껍질’ 대신에 ‘돼지껍데기’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는 듯하다. ‘껍질’과 ‘껍데기’는 구별되어 쓰이기도 하고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해서 헷갈릴 때가 많다.

사과, 귤, 양파 같은 과일, 채소 등의 단단하지 않은 외피를 ‘껍질’이라고 한다. 껍질은 주로 까거나 벗기는 것이 많다. 그렇다면 수박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를 말한다. 따라서 수박은 껍질이 맞다. 새우도 껍질이다.

‘껍데기’는 껍질보다 단단하다. 달걀, 조개, 소라 등을 싸고 있는 것은 껍데기이다. 그렇다면 윤형주의 노래 ‘조개껍질 묶어’ 가사는 틀린 것일까?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은 두 형태가 널리 쓰여 복수표준어로 인정되었다.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수박을 먹고 나서 껍데기는 버려라”에서 ‘껍데기’는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이라는 뜻이다. 베개껍데기, 과자껍데기가 이와 같다. 달걀, 호두, 은행, 땅콩 등은 알맹이를 직접 싸고 있는 얇은 ‘껍질’과 이를 둘러싼 ‘껍데기’로 나눌 수 있다.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 잡을까”란 속담이 있다. 호랑이의 가죽을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 호랑이가 껍질이면 돼지도 껍질이 맞다. 문득 신동엽 시인의 시 ‘껍데기는 가라’가 떠오르는 건 너무 생뚱맞은가.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98
3172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801
3171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54
3170 파이팅, 오바이트, 플레이, 커닝 바람의종 2008.09.23 8749
3169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45
3168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188
3167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46
316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53
3165 파랗다와 푸르다 윤영환 2008.09.03 8523
3164 파랗네, 파레지다 바람의종 2009.04.03 10112
3163 파랑새 바람의종 2009.06.16 7417
3162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959
3161 파고다 바람의종 2010.02.09 11710
3160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1038
3159 트레킹, 트래킹 바람의종 2009.03.27 8726
3158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19
3157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744
315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546
3155 퉁맞다 바람의종 2007.03.30 8132
3154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657
3153 투성이 바람의종 2010.08.27 9359
3152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135
3151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