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8 06:20

돼지껍데기

조회 수 15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돼지껍데기

콜라겐이 많아서 피부에 좋다는 소문이 나서인지 여자 연예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돼지껍질이 자주 꼽힌다. 마오쩌둥도 즐겨 먹었다는 돼지껍질. 고소하고 쫀득한 맛이 일품이다. 그런데 ‘돼지껍질’ 대신에 ‘돼지껍데기’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는 듯하다. ‘껍질’과 ‘껍데기’는 구별되어 쓰이기도 하고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해서 헷갈릴 때가 많다.

사과, 귤, 양파 같은 과일, 채소 등의 단단하지 않은 외피를 ‘껍질’이라고 한다. 껍질은 주로 까거나 벗기는 것이 많다. 그렇다면 수박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를 말한다. 따라서 수박은 껍질이 맞다. 새우도 껍질이다.

‘껍데기’는 껍질보다 단단하다. 달걀, 조개, 소라 등을 싸고 있는 것은 껍데기이다. 그렇다면 윤형주의 노래 ‘조개껍질 묶어’ 가사는 틀린 것일까?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은 두 형태가 널리 쓰여 복수표준어로 인정되었다.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수박을 먹고 나서 껍데기는 버려라”에서 ‘껍데기’는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이라는 뜻이다. 베개껍데기, 과자껍데기가 이와 같다. 달걀, 호두, 은행, 땅콩 등은 알맹이를 직접 싸고 있는 얇은 ‘껍질’과 이를 둘러싼 ‘껍데기’로 나눌 수 있다.

“껍질 상치 않게 호랑이 잡을까”란 속담이 있다. 호랑이의 가죽을 상하지 않고서 호랑이를 잡을 수 없다는 뜻이다. 호랑이가 껍질이면 돼지도 껍질이 맞다. 문득 신동엽 시인의 시 ‘껍데기는 가라’가 떠오르는 건 너무 생뚱맞은가.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8343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502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9858
    read more
  4. 성인의 세계

    Date2022.05.10 By風文 Views1608
    Read More
  5. 콩글리시

    Date2022.05.18 By風文 Views1609
    Read More
  6. 풀어쓰기, 오촌 아재

    Date2022.10.08 By風文 Views1609
    Read More
  7. 웰다잉 -> 품위사

    Date2023.09.02 By風文 Views1611
    Read More
  8. 지긋이/지그시

    Date2023.09.02 By風文 Views1613
    Read More
  9. 북한의 ‘한글날’

    Date2024.01.06 By風文 Views1613
    Read More
  10.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615
    Read More
  11. ‘시끄러워!’, 직연

    Date2022.10.25 By風文 Views1621
    Read More
  12.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Date2023.10.18 By風文 Views1624
    Read More
  13. 위탁모, 땅거미

    Date2020.05.07 By風文 Views1625
    Read More
  14. 기림비 2 / 오른쪽

    Date2020.06.02 By風文 Views1627
    Read More
  15.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Date2022.09.03 By風文 Views1627
    Read More
  16. 노랗다와 달다, 없다

    Date2022.07.29 By風文 Views1628
    Read More
  17. 국가의 목소리

    Date2023.02.06 By風文 Views1631
    Read More
  18.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Date2022.12.06 By風文 Views1632
    Read More
  19. 한소끔과 한 움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632
    Read More
  20. 혼성어

    Date2022.05.18 By風文 Views1634
    Read More
  21. 어쩌다 보니

    Date2023.04.14 By風文 Views1637
    Read More
  22. 개양귀비

    Date2023.04.25 By風文 Views1637
    Read More
  23. 아이 위시 아파트

    Date2023.05.28 By風文 Views1644
    Read More
  24.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Date2022.06.24 By風文 Views1648
    Read More
  25.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Date2022.09.09 By風文 Views164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