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2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32
3260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40
3259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92
3258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36
3257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32
3256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136
3255 학을 떼다 바람의종 2008.02.01 10570
3254 학여울 바람의종 2009.03.31 10556
3253 학부모 / 학부형 바람의종 2010.09.29 13973
3252 하지 말아라, 하지 마라 바람의종 2010.03.16 12396
3251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369
3250 하염없다 바람의종 2007.04.01 10947
3249 하여, 하였다 바람의종 2010.01.28 9360
3248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184
3247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53
3246 하릴없다와 할 일 없다 바람의종 2010.03.08 13369
3245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631
3244 하룻강아지 바람의종 2010.03.22 12164
3243 하루살이 바람의종 2007.04.01 9624
3242 하락세로 치닫다 바람의종 2009.02.05 13220
3241 하더란대두 바람의종 2009.05.30 7228
3240 하늘말라리아? 바람의종 2008.04.27 8832
3239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